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허수 교수

許洙 | Hur Soo

전공한국근대사
연구실14동 509호
연락처02-880-6180
이메일crctaper@snu.ac.kr
연구 분야
  • ‘역사 속의 인간’이라는 전통적인 주제를 지식인에 대한 사상사적 접근,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해외 이주민에 대한 관심 등 세 방면에서 탐구해왔다. 향후 종교와 정치의 관계, 한국 근현대사학사 등에 관한 연구를 병행하면서 그동안의 문제의식을 심화·확충하려고 한다.
저서
  •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 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共著), 소명출판, 2020.
  •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共著), 역사비평사, 2013.
  • 《두 시점의 개념사 – 현지성과 동시성으로 보는 동아시아 근대》 (共著), 푸른역사, 2013.
  •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II》 (共著), 선인, 2013.
  • 《중학교 역사 2》 (共著), ㈜금성출판사, 2013.
  • 《개념의 번역과 창조》 (共著), 돌베개, 2012.
  • 《식민지 조선, 오래된 미래 – 개념과 표상으로 식민지시대 다시 읽기》, 푸른역사, 2011.
  •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5 (일제강점기)》 (共著), 웅진지식하우스, 2011.
  • 《이돈화 연구 – 종교와 사회의 경계》, 역사비평사, 2011.
  •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共著), 선인, 2010.
  • 《식민지 공공성의 지평》 (共著), 책과함께, 2010.
  • 《1919년 3월 1일에 묻다》 (共著),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2》 (共著), 역사비평사, 2009.
  • 《«개벽»에 비친 식민지 조선의 얼굴》 (共著), 모시는사람들, 2008.
  • 《근현대속의 한국》 (共著),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7.
  • 《근대를 다시 읽는다 2》 (共著), 역사비평사, 2006.
  •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共著), 역사비평사, 2000.
  •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1》 (共著), 역사비평사, 1999.
  • 《한국현대사강의》 (共著), 돌베개, 1998.
논문
  • 〈대한제국기 ‘집단적 주체’의 의미망―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의 사설 기사를 중심으로〉 (共著) 《대동문화연구》 11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 〈『개벽』 논조의 사회주의화에 관한 새로운 접근 ― 토픽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78(1), 인문학연구원, 2021.
  • 〈『1920년대 신채호의 텍스트와 ’민중‘〉 《역사비평》 140, 역사문제연구소, 2022.
  • 〈근대 전환기 ‘개벽’의 불온성과 개념화 ― 동학·천도교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8(4), 인문학연구원, 2021.
  • 〈언어연결망 분석으로 본 20세기 초 한국의 ‘문명’과 ‘문화’-주요 언론기사에서의 논의 맥락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22, 한림과학원, 2018.
  • 〈언어 네트워크 연구를 통해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내재적 발전론의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75, 2018.
  •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1980년대 ‘민중’-『동아일보』의 용례를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18, 한림과학원, 2016.
  • 〈『개벽』의 종교적 사회운동론과 일본의 ‘종교철학’〉 《인문과학논총》 72, 2015.
  • 〈어휘 연결망을 통해 본 ‘제국’의 의미-‘제국주의’와 ‘제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87, 2014.
  • 〈새로운 역사인식과 방법론의 모색 – 일제 식민지 시기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역사학보》 222, 2014.
  • 〈20세기 초 한국의 평화론〉 《역사비평》 106, 2014.
  • 〈해방 후 義菴 孫秉熙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변천〉 《대동문화연구》 83, 2013.
  • 〈교조신원운동기 동학교단과 정부 간의 담론투쟁 – 유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66, 2013.
  •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Minjung and Changes Thereto: With a Focus on the 1920s〉 《Korea Journal》 Vol. 52 No.4, 2012 winter.서 ‘天’ 개념의 전개〉 《개념과소통》 10, 2012.
  • 〈연구동향: 개념사 뷔페 시식기 – 일문연(日文硏) 주최 국제학술대회에 다녀와서 -〉 《개념과소통》 10, 2012.
  • 〈연구동향: 한국 개념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와 현실》 86, 2012.
  • 〈A Conceptual History Approach to Four ‘Collective Subjec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東亞觀念史集刊 第一期》, 2011.
  • 〈1920~3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대중’ 인식〉 《역사와 현실》 77, 2011.
  •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23, 2010.
  • 〈일제하 ‘사상논쟁’에 나타난 ‘종교’ 개념의 충돌 – 천도교와 좌익 언론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개념과소통》 4, 2009.
  •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개조론의 확산과 한국 지식인〉 《한국근현대사연구》 50, 2009.
  • 〈러셀 사상의 수용과 《개벽》의 사회개조론 형성〉 《역사문제연구》 21, 2009.
  • 〈일제시기 농민운동 연구의 동향과 모색〉 《역사문제연구》 20, 2008.
  • 〈1920년대 《개벽》의 정치사상 – ‘범인간적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112, 2008.
  • 〈《개벽》의 ‘表象空間’에 나타난 매체적 성격 – 표지 및 목차 분석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 62, 2008.
  • 〈이돈화의 《新人哲學》 연구 – 일제하 천도교 사회운동과 관련하여 -〉 《사림》 30, 2008.
  • 〈1920년대 초 《개벽》 주도층의 근대사상 소개양상 – 형태적 분석을 중심으로 -〉 《역사와 현실》 67, 2008.
  • 〈새로운 식민지 연구의 현주소 – ‘식민지 근대’와 ‘민중사’를 중심으로 -〉 《역사문제연구》 16, 2006.
  • 〈1905~1924년 천도교 종교사상의 형성과정 – 이돈화의 ‘인내천논증’을 중심으로 -〉 《역사문제연구》 12, 2004.
  • 〈1920년대 전반 이돈화의 改造思想 수용과 ‘사람性주의’〉 《동방학지》 125, 2004.
  • 〈1920년 전후 李敦化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 수용〉 《역사문제연구》 9, 2002.
  • 〈戰時體制期 靑年團의 조직과 활동〉 《국사관논총》 88, 2000.
  • 〈1945~46년 미군정의 생필품 통제정책〉 《韓國史論》 34 , 1995.
서평
  • 〈문학적 감수성과 역사의 두께 – 김현주, 《사회의 발견》 (소명출판, 2013)〉 《개념과소통》 13, 2014.
  • 〈’개념사’ – 해석과 정의 사이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96, 2011.
  • 〈《개벽》 연구의 학문적 출발점(최수일, 《개벽 연구》, 소명출판, 2008)〉 《민족문학사연구》 40, 2009.
  • 〈식민지를 개념적으로 사유한 부분 신선 … 난해할 필요 있나?〉 《교수신문》, 2008.
자료집
  • 《동덕100년사자료집》, 동덕100년사편찬위원회, 2009.
학력
  • 2005
  • 1995
  • 1991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21.06. ~ 현재
  • 2020.01. ~ 현재
  • 2017.02. ~ 2018.01.
  • 2016.02. ~ 2017.01.
  • 2015.03. ~ 현재
  • 2009.04. ~ 2015.02.
  • 2005.10. ~ 2009.03.
  • 2005.03. ~ 2005.09.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디지털위원회 위원
  • 진단학회 연구이사
  • University of Washington, the Center for Korea Studies(CKS, 미국 시애틀) 방문학자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획연구부장 겸 HK사업단 사업부장
  • 서울대학교 부교수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HK교수
  • 동덕여자대학교 연구교수
  •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명예회복 심의위원회 전문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