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한국 고대사 전공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역사 지리, 공간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
- 《대가야의 도성》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영남대학교 박물관, 2020.
- 《대가야의 악(樂): 가야금과 우륵 12곡》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경북문화재단, 2019.
- 《한국학 자료 읽기》 (共著), 21세기사, 2018.
-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 (共著), 역락, 2018.
-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共著),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 《신라의 사회 구조와 신분제》 (共著), 경상북도, 2016.
- 《신라의 체제 정비와 영토 확장》 (共著), 경상북도, 2016.
역서
- 《삼국유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논문
- 〈신라 소경의 기능과 공간 구조〉 《대구사학》 151, 2023.
- 〈신라 상주 및 화령군의 공간 구조 복원〉 《한국고대사연구》 108, 2022.
- 〈고구려의 충주 지역 진출 시기와 경로〉 《중앙사론》 57, 2022.
- 〈문경 고모산성의 역사적 가치〉 《한국성곽학보》 27, 2022.
- 〈한국사의 의미에 비추어 본 현행 교육과정 고대사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대구사학》 147, 2022.
- 〈신라 통일기 한주(漢州)의 물자 이동과 조운(漕運) -하남 선동 출토 명문 기와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21, 2021.
- 〈고대사학에서 고대학으로〉 《역사학보》 251, 2021.
- 〈신라의 ‘남·북 한산성’ 축조와 경영〉 《역사문화연구》 79, 2021.
- 〈가야 제국(諸國)의 공간 구조와 성(城)〉 《한국학논집》 83, 2021.
- 〈5~6세기 신라 팔거리(八居里)의 지역 집단과 성 -구암동고분군·팔거산성의 성격과 관련하여-〉 《중앙사론》 53, 2021.
- 〈신라 王都 성립의 전후〉 《한국고대사연구》 97, 2020.
- 〈地籍原圖와 GIS를 활용한 신라 王都 街路 체계의 복원〉 《한국상고사학보》 107, 2020.
- 〈6~8세기 신라 동북 경계의 변천과 구조〉 《한국학논집》 77, 2019.
-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 《역사비평》 127, 2019.
- 〈신라 문소군, 숭선군의 구조와 군현 편성 원리〉 《한국학논집》 74, 2019.
- 〈신라 왕경 6부의 경계에 대한 연구〉 《대구사학》 134, 2019.
- 〈월성 해자 목간으로 본 신라의 왕경〉 《목간과 문자》 20, 2018.
- 〈신라 6부의 시기적 변천과 기본 성격 -연구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89, 2018.
- 〈통일신라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 개편〉 《백제문화》 56, 2017.
- 〈삼국시대 금호강 유역의 공간 구조와 물자 이동 -押梁郡을 중심으로-〉 《백제문화》 54, 2016.
- 〈『한서』 지리지 낙랑군 3수의 비정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79, 2015.
- 〈박정희 정권의 ‘화랑도(花郞道)’ 교육 -내용의 연원과 관철의 방식-〉 《역사와 현실》 96, 2015.
- 〈신라 郡-城·村制의 특징과 郡縣制로의 전환〉 《한국사연구》 163, 2013.
- 〈신라 통일기 州·小京의 성곽과 그 활용 -漢山州와 國原小京을 중심으로-〉 《한국성곽학보》 21, 2012.
- 〈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역사와 현실》 82, 2011.
- 〈포항 중성리신라비 비문의 형식과 분쟁의 성격〉 《한국문화》 55, 2011.
- 〈북한강 유역 신라 郡縣의 형성과 구조〉 《한국한문고전학회》 22, 2011.
-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 -尙·良·康州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59, 2010.
- 〈6세기 초 고구려·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역사와 현실》 76, 2010.
- 〈신라 尙·良·康州 郡縣城의 양상과 형성 과정〉 《한국고대사연구》 55, 2009.
- 〈삼국시대 壁柱(大壁)건물연구, 그 後〉 《한일취락연구》, 서경문화사, 2013.
- 〈4세기 전후 신라의 토성 축조와 그 목적 -영남 지역 초기 토성의 성격-〉 《한국사연구》 139, 2007.
- 〈6~8세기 新羅 漢州 「郡縣城」과 그 성격〉 《한국사론》 47, 2002.
학력
- 2010
- 2001
- 1998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23.09. ~ 현재
- 2023.05. ~ 현재
- 2023.03. ~ 현재
- 2022.09. ~ 2023.08
- 2014.09. ~ 2022.08.
- 2013.04. ~ 2014.06.
- 2010.09. ~ 2013.03.
-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
-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전문위원
-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
-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 계명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부교수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원,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