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조선후기 사대부 지식인들의 우주론과 과학담론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특히 서양과학 전래 이후 조선후기의 지식인들이 전래된 이질적인 과학지식의 정보들을 어떻게 해체해서 새로운 과학지식을 형성해 갔는지 고찰하는 데 주목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우주론을 중심으로 천문학과 지리학이며, 지성사에 대한 문화사적 독법을 추구하려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18세기와 19세기 초반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지만, 점점 19세기 후반과 근대계몽기, 그리고 17세기로 관심 영역을 점점 확대하고 있다.
저서
- 《문명의 오만과 문화의 울분 : 문화수용전략에 관한 융합적 연구 – 화혼양재와 동도서기 그리고 위정척사》 (共著), 일조각, 2021.
- 《術數学の射程 – 東アジア世界の「知」の伝統 –》 (共著), 일본 臨川書店, 2021.
- 《의산문답: 천지와 인물에 대한 우화적 일탈》, 아카넷, 2019.
-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共著),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조선 후기 과학사상사: 서구 우주론과 조선 천지관의 만남》, 들녘, 2016.
- 《동서양의 문명과 한국》 (共著), 민음사, 2014.
- 《17세기 대동의 길》 (共著), 민음사, 2014.
- 《조선 기록문화의 역사와 구조 2: 기록에서 사회로》 (共著), 소명, 2014.
-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共著), 민음사, 2013.
- 《관암 홍경모와 19세기 학술사》 (共著), 경인문화사, 2011.
- 《정조와 정조시대》 (共著),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 《조선 전문가의 일생》 (共著),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서구 문화와의 만남》 (共著), 국사편찬위원회, 2010.
- 《스무살, 인문학을 만나다》 (共著), 서울대 인문대, 2010.
- 《한국유학사상대계 12; 과학기술사상편》 (共著), 한국국학진흥원, 2009.
- 《개정신판 한국사특강》 (共著),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共著), 지식산업사, 2008.
- 《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共著), 한국과학문화재단, 2007.
- 《하늘, 시간, 땅에 대한 전통적 사색》, 국사편찬위원회, 2007.
- 《세종의 국가경영》 (共著), 지식산업사, 2006.
- 《우리역사 과학기행》, 동아시아, 2006.
- 《한국실학사상연구4》 (共著),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 《한국 과학기술 인물 12인》 (共著), 해나무, 2005.
- 《국조역상고》 (共譯), 소명출판, 2004. 12.
- 《여헌 장현광의 학문세계, 우주와 인간》 (共著) 예문서원, 2004. 9. 25.
- 《한국실학과 동아시아 세계》 (共著), 경기문화재단, 2004. 6. 20.
- 《세계를 바꾼 20가지 공학기술》 (共著), 생각의 나무, 2004. 7. 20.
- 《우리의 과학문화재》 (共著), 한국과학문화재단, 1997. 3. 25.
- 《불과 한국인의 삶》 (共著), 나남출판, 2001. 10. 31.
- 《조선후기 水利學과 水利담론》, 집문당, 2000. 4. 25.
역서
-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소명출판, 2004. 12.
논문
- 〈세종대 척도의 탄생; 주척과 황종척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96, 2021.
- 〈세종대 박연의 율관 제작; 고악 구현의 난제〉 《동방학지》 192, 2020.
- 〈From Local Calendar to Eastern Calendar: the Aspiration for an Independent Calendar of the Kingdom in Late Choson Korea〉, in Francesca Bray and Jongtae Lim ed., 《Science and Confucian Statecraft in East Asia》, Leiden: Brill, 2019.
- 〈칠정산의 역사적 의미와 사대부 천문학자 김담〉 《김담, 조선의 하늘을 열다》, 도서출판 느티나무, 2019.3.28.
- 〈김영식의 동아시아 과학 전통 읽기를 넘어서〉 《한국과학사학회지》 36-3, 2014.
- 〈한국과학사 연구의 현황과 쟁점 – 전근대 천문지리학 및 우주론 연구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92, 2014.
- 〈15세기의 ‘風土不同論’과 조선의 고유성〉 《한국사연구》 162, 2013.
- 〈중국과 조선에서의 빛과 소리에 대한 기론적 논의 : 17세기 방이지 학파와 19세기 초 이규경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44, 2013.
- 〈‘鄕曆’에서 ‘東曆’으로: 조선후기 自國曆을 갖고자 하는 열망〉 《역사학보》 218, 2013.
- 〈창조적 일탈의 상상: 19세기 초 이규경의 하늘과 땅에 대한 사유〉 《한국문화》 59, 2012.
- 〈전근대라는 이름의 덫에 물린 19세기 조선 과학의 역사성〉 《한국문화》 54, 2011.
- 〈Landscape and Historicity of Korean Science of the Early to Middle Nineteenth Centur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東國·增訂·增補文獻備考』「象緯考」의 편찬과 영⋅정조대의 천문학〉《진단학보》106, 2008. 12.
- 〈Late Circulation of the Early Qing Natural Studies in 19th Century Korea〉 《Historia Scientiarum》, The History of Science Society of Japan, vol. 17-3, 2008. 03.
- 〈19세기 조선의 자연지식과 과학담론 : 명말明末·청초淸初 중국 우주론의 늦은 유입과 그 영향〉 《다산학》 13, 2008.
- 〈이청의 정관편에 담긴 자연지식의 역사적 위치〉 《제10회 다산학 학술회의 “다산학단의 학문적 성격과 성과”》, 다산학술재단, 2008.
- 〈세종대 과학기술의 ‘자주성’ 다시보기〉 《역사학보》 189, 역사학회, 2006.
- 〈19세기 호남 실학자 이청의 『정관편』저술과 서양천문학 이해〉 《한국문화》 37, 서울대한국문화연구소, 2006.
- 〈Re-Thinking “Independ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King Sejongs Reig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 〈전통적 자연인식 체계의 사적 변화 ; 상수학적․기론적 우주론의 심화․전개〉 《韓國實學思想硏究 4; 科學技術篇》,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혜안, 2005. 9.
- 〈홍이섭의 과학사 연구를 넘어서〉 《동방학지》 130, 2005.
- 〈조선후기 서양 천문도의 전래와 신․고법 천문도의 절충〉 《한국과학사학회지》 26-1, 2004. 6.
- 〈한국유학사상대계 과학사상사 서술의 과제와 방향〉 《국학연구》 3, 한국국학진흥원, 2003.12.
-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 그 연속과 단절의 역사 ― 기론(氣論)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 ―〉 《정신문화연구》 26권 4호, 2003.
- 〈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 담론의 역사적 성격 ― 徐浩修와 李家煥을 중심으로 ―〉 《東方學志》 121, 2003. 9.
- 〈崔漢綺의 기론적 서양과학 읽기와 기륜설〉 《大同文化硏究》 43, 2003. 9.
- 〈18세기 조선 수리학사(水利學史)〉 《한국문화사상대계3》, 2003. 4. 15.
- 〈최한기의 천문학 분야 미공개 자료분석 ― 《儀象理數》와 발굴자료 《踳駁》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사학회지》 23-2, 2001.12. 31.
- 〈조선후기 자연지식의 변화패턴; 실학 속의 자연지식, 과학성과 근대성에 대한 시론적 고찰,〉 《大同文化硏究》 38, 2001. 6. 30.
- 〈한국의 전통과학〉 《과학과 사회》 창간호, 2001. 4. 20.
- 〈18세기 후반 조선 과학기술의 추이와 성격 ― 정조대 정부 부문의 천문역산 활동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39, 2001. 3. 31.
- 〈19세기의 사대부 과학자 남병철〉 《(계간)과학사상》 33. 2000. 5. 25.
- 〈과학사, 회고와 전망(1999)〉 《歷史學報》 167, 2000. 9. 30.
- 〈Traditional Cosmology Associated with the I-Ching and Anti-Cosmological Discourses in 18th-Century Korea〉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12, 1999.
- 〈과학사, 회고와 전망(1998)〉 《歷史學報》 163, 1999. 9. 30.
- 〈16․17세기 조선 우주론의 상수학적 성격 ― 서경덕과 장현광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3 4, 1999. 12. 31.
- 〈18세기 조선 실학자의 자연지식의 성격 ― 象數學的 우주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1-1, 1999. 6. 30.
- 〈간척사업과 지형진화(Ⅰ) – 강화도 -〉 (공저) 《농공기술》 58, 1998. 3.
- 〈18세기 조선 水利學의 등장과 그 推移〉 《韓國思想史學》 9, 1997. 12.
- 〈The Late Emergence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Water Utilization in Choson Dynasty and Its Background〉Hashimoto & Jami ed., 《East Asian Science : Tradition and Beyond》 (Kansai University), 1995.
- 〈조선후기의 水車〉《韓國文化》 15, 1994. 12.
- 〈한국과학기술사의 종합적 체계화의 첫 시도 – 홍이섭의 《조선과학사》 서평 -〉 《역사와 현실》 13, 1994.
- 〈朝鮮時代 農書에 나타난 木綿栽培技術〉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4권 2호, 1992. 12.
- 〈F.Engels의 운동개념 및 그 형성과정 -「자연변증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10-1, 1988. 12.
학력
- 1995
- 1987
- 1982
-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이학박사
-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 이학석사
-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 이학사
경력
- 2022.03. ~ 현재
- 2020.06. ~ 현재
- 2019.10. ~ 현재
- 2019.09. ~ 2021.08.
- 2018.01. ~ 현재
- 2017.08. ~ 2018.08.
- 2010.08. ~ 2011.07.
- 2005.02. ~ 현재
- 2002.09. ~ 2005.01.
- 2001.10. ~ 2002.09.
- 1996.09. ~ 1997.08.
- 1995.09. ~ 1996.08.
- 자연과학대학 과학학과 겸무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운영위원회 위원
-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과장
- 역사학회 평의원
- 독일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 교환교수
- University of Washington 교환교수
- 서울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단 연구교수
- Harvard University Post. Doc.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ost. 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