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남동신 교수

南東信 | Nam Dong-Sin

전공한국불교사
연구실14동 510호
연락처02-880-6182
이메일dsnam@snu.ac.kr
연구 분야
  •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전개 과정에 끼친 불교의 영향을 역사학의 관점에서 해명하는 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20여 년간 원효 등의 주요 승려, 황룡사 등의 주요 사찰, 삼국유사 등의 불교 문헌(금강삼매경 등의 위경도 포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아울러 불교와 국가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국적 특색이 두드러진 몇몇 불교제도를 고찰하였으며, 한국 중세 사상의 양대 지주인 불교와 유교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후대에 ‘불교에 아첨한 자’로 비난받은 유교 지식인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도 병행하였다. 연구영역을 한국불교사에 국한하지 않고 동아시아불교로 확장시키고자 하며, 방법론과 관련하여 문자자료만이 아니라 물질자료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구체적인 주제로는, 한국의 불교문화유산 가운데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평가받는 불국사와 석굴암, 고려대장경을 동아시아불교사의 전체 맥락에서 연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 《원효의 발견》, 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 《한국불교사연구입문》 (共著), 지식산업사, 2013.
  • 《동아시아 구법승과 인도의 불교 유적》 (共著), 사회평론사, 2009.
  • 《원효》, 새누리, 1999.
편저
  • 《大東金石書 연구》 (책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1)》 (책임),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연구용역과제 결과보고서,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중앙도서관․박물관 소장 탁본 자료에 대한 종합적 검토(Ⅰ)》 (책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장기기초연구 지원과제 결과보고서, 2011
  • 《안성 칠장사와 혜소국사 정현》 (책임), 칠장사, 2011.
역주
  • 《譯註 羅末麗初金石文 上, 下》, 혜안, 1996.
  •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권Ⅲ (신라2․발해편)》, 韓國古代社會硏究所, 1992.
역서
  • 《慧能》 (共譯), 현음사, 1993.
논문
  • 〈세조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 《미술사론》 101, 2022.
  • 〈Wonhyo’s View of Human Beings and his Redemption of Mankind〉 《THE REVIEW OF KOREAN STUDIES》25(1), 2022.
  • 〈校勘 譯註 聖住寺朗慧和尙白月葆光塔碑〉 《韓國史論》 67, 서울대 국사학과, 2021.
  • 〈감산사 아미타불상과 미륵보살상 조상기의 연구〉 《미술자료》 98, 2020.
  • 〈원효에게 인간을 묻다〉 《인간을 다시 묻는다》, 2020.
  • 〈佛敎的 理想世界로서의 佛國寺〉 《新羅文物硏究》 4, 2019.
  • 〈한국적 연구 모델의 정립을 위하여〉 《歷史學報》 243, 2019.
  •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성립사 연구-기이(紀異)를 중심으로-〉 《韓國思想史學》 61, 2019.
  • 〈고려 중기 法相宗[慈恩宗]과 海麟〉 《韓國史論》 65, 서울대 국사학과, 2019.
  • 〈譯註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銘〉 《韓國史論》 64, 서울대 국사학과, 2018.
  • 〈校勘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文〉 《韓國史論》 63, 서울대 국사학과, 2017.
  • 〈석문(石文) 산책〉 ≪탁본≫, 동아대석당박물관, 2016
  • 〈삼국유사 속의 삼국유사 :「전후소장사리」조〉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7,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16.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佛國寺復役功德記」(1779년) 탁본자료〉 《미술자료》 88, 국립중앙박물관, 2015.
  • 〈高麗時代の王室と華嚴宗〉 《仏教文明と世俗秩序》, 東京 勉誠出版, 2015.
  •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미술사와 시각문화》 13, 2014.
  • 〈李穡의 高麗大藏經 印出과 奉安〉 《한국사연구》 163, 2013.
  • 〈분황사의 창건과 그 역사〉 《원효학연구》 18, 2013.
  • 〈금석청완 연구〉 《한국중세사연구》 34, 2012.
  • 〈桂苑筆耕集의 문화사적 이해〉 《진단학보》 112, 2011.
  • 〈七長寺慧炤國師碑銘을 통해 본 鼎賢의 生涯와 思想〉 《한국중세사연구》 30, 2011.
  • 〈특집:고려 중기 왕실과 화엄종 -왕실 출신 화엄종 5 국사(國師)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79, 2011.
  • 〈미술사의 과제와 역사학 -불교미술사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68, 2010.
  • 〈慧超 『往五天竺國傳』의 발견과 8대탑〉 《동양사학연구》 111, 2010.
  • 〈慧超의 『往五天竺國傳』에 대한 新考〉 《신라학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3, 경주시 신라문화유산조사단, 2009.
  • 〈大城孝二世父母條에 보이는 孝와 善〉 《新羅文化祭學術論文集》 30,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09.
  • 〈고려 전기 금석문과 法相宗〉 《불교연구》 30, 한국불교연구원, 2009.
  • 〈牧隱 李穡의 전기 자료 검토〉 《韓國思想史學》 31, 한국사상사학회, 2008.
  • 〈玄奘의 印度 求法과 玄奘像의 추이―西域記, 玄奘傳, 慈恩傳의 비교 검토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 불교학연구회, 2008.
  • 〈보드가야 마하보리사(大覺寺) 출토 한비(漢碑)〉 《인도연구》 13-1, 한국인도학회, 2008.
  • 〈동아시아 불교의 관점에서 본 元曉의 和諍思想〉, 제398회 국학연구발표회, 2008.
  • 〈韓國佛敎史의 認識과 方法論〉, 부처님오신날 봉축학술세미나,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2008.
  • 〈여말선초기 懶翁 현창운동〉 《한국사연구》 139, 한국사연구회, 2007.
  • 〈現行西方經〉 《고서해제》 Ⅷ, 평민사, 2007.
  • 〈緇門警訓〉 《고서해제》 Ⅷ, 평민사, 2007.
  • 〈「불국사 무구정광탑 중수기」와 다보탑〉, 한국역사연구회 웹진, 한국역사연구회, 2007.
  •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불교학연구》 16, 불교학연구회, 2007.
  • 〈불교의 수용과 신라 사회의 변화〉 《경북학의 정립과 정신문화사 연구》 권상, 한국국학진흥원, 2007.
  • 〈목은 이색과 불교 승려의 詩文 교유〉 《역사와 현실》 62, 한국역사연구회, 2006.
  • 〈최치원〉 《영남을 알면 한국사가 보인다》, 푸른역사, 2005.
  • 〈동아시아불교와 원효의 和諍思想〉 《元曉學硏究》 10, 분황사 원효학연구원, 2005.
  • 〈麗末鮮初의 僞經 연구〉 《韓國思想史學》 24, 한국사상사학회, 2005.
  • 〈나말여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역사와 현실》 56, 한국역사연구회, 2005.
  • 〈元曉의 起信論觀과 一心思想〉 《韓國思想史學》 22, 한국사상사학회, 2004.
  • 〈Buddhism in Medieval Korea〉 《Korea Jeurnal》 43-4,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2003.
  • 〈원효〉 《한영우정년기념논총 한국사인물열전》, 돌베개, 2003.
  • 〈聖住寺 無染碑의 得難條에 대한 考察〉 《韓國古代史硏究》 28, 한국고대사학회, 2002.
  • 〈羅末麗初 전환기의 지식인 崔致遠〉 《강좌 한국고대사》 권8,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 〈신라불교의 토착화와 元曉〉 《사목》 283,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2.
  • 〈元曉의 戒律思想〉 《韓國思想史學》 17, 한국사상사학회, 2001.
  • 〈三國統一과 佛敎界의 動向―中代初 국가와 불교 교단의 관계를 중심으로―〉 《韓國古代史硏究》 23, 한국고대사학회, 2001.
  • 〈聖住寺와 無染에 관한 자료 검토〉 《성주사와 낭혜》, 서경문화사, 2001.
  • 〈조선후기 불교계의 동향과 《像法滅義經》 의 성립〉 《韓國史硏究》 113, 한국사연구회, 2001.
  • 〈新羅 中古期 佛敎治國策과 皇龍寺〉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22,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01.
  • 〈新羅의 僧政機構와 僧政制度〉 《古代史論叢》 9, 2000.
  • 〈북한산 僧伽大師像과 僧伽信仰〉 《서울학연구》 14, 서울학연구소, 2000.
  • 〈문사철 통합의 관점에서 본 전통 학문-불교전적의 解題를 중심으로-〉 《문사철 통합을 위한 공동 연구 제1차년도 보고서》, 서울대 인문학연구소, 1999.
  • 〈元曉와 芬皇寺 關係의 史的 推移〉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20,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9.
  • 〈元曉와 신라 中代 왕실의 관계〉 《元曉思想》 1, 원효연구원, 1998.
  • 〈新羅 中代佛敎의 成立에 관한 硏究-『金剛三昧經』과 『金剛三昧經論』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21,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8.
  • 〈대각국사 의천의 화엄사상〉 《불교와 문화》 1997 여름호, 대한불교진흥원, 1997.
  • 〈보우(普雨)는 요승인가, 성인인가〉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권2, 청년사, 1996.
  • 〈대각국사 의천의 중국유학〉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권1, 청년사, 1996.
  • 〈의상(義相) 화엄사상의 역사적 이해〉 《역사와 현실》 20, 한국역사연구회, 1996.
  • 〈Wonhyo’s Philosophy and His Activities for Popularisation of Buddhism〉 《2nd Conference》, ICAPS at Hyderabad University, India, 1996.
  • 〈Wonhyo’s Illsim Philosophy and Mass Proselytization Movement〉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8, Institute of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isity, 1995.
  • 〈新羅 中代의 佛敎敎學과 佛敎大衆化〉 《한국역사입문》 권2, 한국역사연구회, 1995.
  • 〈慈藏定律과 四分律〉 《佛敎文化硏究》 4, 통도사 불교문화연구소, 1995.
  • 〈東國史略․三國史節要〉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권上, 창작과비평사, 1994.
  • 〈원효와 의상은 어떤 인물인가〉 《한국고대사산책》 , 역사비평사, 1994.
  • 〈이차돈은 순교자인가〉 《한국고대사산책》 , 역사비평사, 1994.
  • 〈한국고대불교의 국가관․사회관〉 《역사비평》 23, 역사문제연구소, 1993.
  • 〈羅末麗初 華嚴宗團의 대응과《(華嚴)神衆經》의 성립〉 《외대사학》 5, 한국외국어대 사학연구소, 1993.
  • 〈慈藏의 佛敎思想과 佛敎治國策〉 《韓國史硏究》 76, 한국사연구회, 1992.
  • 〈불교사상〉 《한국역사》, 역사비평사, 1992.
  • 〈신라시대 불교와 중국유학승〉 《역사비평》 15, 역사문제연구소, 1991.
  • 〈三國 및 統一新羅期 佛敎史의 認識과 方法論〉 《韓國古代史論叢》 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1991.
  • 〈元曉의 敎判論과 그 佛敎史的 位置〉 《韓國史論》 20, 서울대 국사학과, 1988.
학력
  • 1995
  • 1988
  • 1984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23.01. ~ 현재
  • 2019.04. ~ 2020.12.
  • 2018.02. ~ 2019.01.
  • 2017.09. ~ 2019.08.
  • 2015.01. ~ 2016.12.
  • 2016.10. ~ 2018.09.
  • 2015.01. ~ 2016.12.
  • 2009.03. ~ 현재
  • 2009.01. ~ 2010.12.
  • 2005.05. ~ 2007.05.
  • 2001.05. ~ 현재
  • 2000.03. ~ 2009.02.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 한국연구재단 한중인문학포럼 운영위원
  • 제27대 총장추천위원회 위원
  • 서울대학교 박물관 관장
  • (재)한국연구원 이사
  • 서울대학교 평의원
  • 한국사상사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부교수, 교수
  • 역사학회 총무이사
  •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 한국사상사학회 이사
  •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