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정용욱 교수

鄭容郁 | Chung Yong-Wook

전공한국현대사
연구실14동 507호
연락처02-880-6184
이메일danggo@snu.ac.kr
연구 분야
  • 사료의 확대를 통한 역사 서술 주체의 확장, 역사 해석의 다양성 확보에 관심이 많다. 사회적 소통의 수단이자 에고도큐먼트인 편지 자료를 활용해 8·15 이후 3년 동안 한국인들이 겪은 해방과 미 점령의 역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
  • 《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共著),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 민음사, 2021.
  • 《혁명과 민주주의》 (共著), 경인문화사, 2018.
  • 《나의 자료 읽기, 나의 역사 쓰기》 (共著), 경인문화사, 2017.
  • 《한국 현대사와 민주주의》 (共著), 경인문화사, 2015.
  • 《서울대 명품 강의》 (共著), 글항아리, 2010.
  • 《개정신판 한국사특강》 (共著),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한국사회사상사연구》 (共著), 나남출판, 2003.
  • 《한국사의 국제환경과 민족문화》 (共著), 경인문화사, 2003.
  • 《우리 학문 속의 미국》 (共著), 학술단체협의회, 2003.
  •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존 하지와 미군 점령통치 3년》, 중심출판사, 2003.
  • 《주한미군사와 미군정기 연구》 (共著), 백산서당, 2002.
  • 《해방 전후사 사료 연구》 II (共著), 선인출판사, 2002.
  • 《미군정 자료 연구》 선인출판사, 2002.
  • 《해외학자 한국현대사 연구분석》 2 (共著), 백산서당, 1999.
  • 《한국현대사강의》 (공저), 돌베개, 1998.
  •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4 (共著), 오름, 1998.
  • 《한국현대사》 1 (共著), 풀빛, 1990.
  • 《쟁점과 과제: 민족해방운동사》 (共著) 역사비평사, 1989.
  • 《한국민중론과 주체사상의 대화》 (共著) 풀빛사, 1989.
  •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共著) 일송정출판사, 1989.
  • 《한국근대민중운동사》 (共著) 돌베개 출판사, 1989.
편저
  • 《내가 겪은 민주와 독재》 (구술자료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구술자료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 《5․16과 박정희 정부의 성립》 1, 2, 현대사연구소 자료총서 1, 2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1999.
  • 《解放 前後 美國 對韓政策史 資料集》 전13권 (공편), 다락방, 1995.
  • 《解放直後 政治․社會史資料集》 전12권, 다락방, 1994.
  • 《JOINT WEEKA》 전8권, 영진문화사, 1993.
역서
  • 《강압의 과학》 선인출판사, 2009.
  • 《탈냉전과 미국의 신세계질서》 역사비평사, 1996.
  • 중국민족해방운동과 통일전선의 역사》 사계절 출판사, 1988.
논문
  • 〈한국의 냉전사 연구동향과 과제〉《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 〈한국의 역사 갈등과 과거사 정리: 묵은 갈등의 소환인가, 새 정체성 형성의 진통인가〉 《역사학보》 249, 2021.
  • 〈From Occupation to War: Cold War Legacies of US Army Historical Studies of the Occupation and Korean War〉 《KOREA JOURNAL》 60, KOREAN NATL COMMISSION UNESCO, 2020.
  • 〈‘정사’ 대 ‘비사’-1950년대 미국의 6·25전쟁사 연구와 냉전문화〉《역사비평》131, 역사문제연구소, 2020.
  • 〈3·1운동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방향성〉 《역사와 현실》 110, 한국역사연구회, 2018.
  • 〈데자뷔의 끝은 어디인가?〉 《역사와 현실》 101, 한국역사연구회, 2016.
  • 〈역사교과서, 역사인식, 그리고 시민의식〉 《내일을 여는 역사》 61, 2015.
  • 〈1947년 웨드마이어 특사의 방한, 단정안 현실화의 획기〉 《역사비평》 112, 2015.
  • 〈6‧25전쟁~1950년대 후반 북한의 평화운동〉 《역사와 현실》 91, 2014.
  • 〈6‧25전쟁 이전 북한의 평화운동〉 《역사비평》 106, 2014.
  • 〈전선의 역사가들-6‧25전쟁기 미 육군 군사지대의 한국전사 편찬 활동〉 《군사》 89, 2013.
  • 〈웨드마이어 장군 전상서- 네 지식인이 논한 1947년 8월의 시국과 그 타개책 -〉 《한국문화》 64, 2013.
  • 〈일본인의 `전후`와 재일조선인관: 미군 점령당국에 보낸 편지들에 나타난 일본 사회의 여론〉 《일본비평》 3, 2010.
  • 〈북한의 통일정책〉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9, 2009.
  • 〈해방 직후 주한미군 방첩대의 조직 체계와 활동〉 《한국사론》 53, 2007.
  • 〈해방 전후 백범 김구의 활동과 미국〉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5, 백범학술원, 2007.
  • 〈2006년의 한국현대사 연구 동향〉 《역사학보》 195, 2007.
  • 〈홍보, 선전, 독재자의 이미지관리-1950년대의 이승만 전기-〉 《세계정치》 28-2,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 〈6‧25전쟁 전후 NARA 한국 관련 자료의 활용 현황 및 과제〉 《미국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Ⅴ》, 국사편찬위원회, 2007.
  • 〈6‧25전쟁 전후 NARA 한국 관련 자료의 활용 현황 및 과제〉 《동아시아 현대사와 미국 국립문서기록청(NARA) 소장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주최 국제학술회의, 2006.
  • 〈모호한 출발, 저당 잡힌 미래, 발목잡힌 역사〉 《시민과 세계》 8, 참여사회연구소, 2006.
  • 〈태평양전쟁기 미국 전략공작처(OSS)의 한반도 공작〉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4, 백범학술원, 2006.
  • 〈”Cold War Perceptions: Emergence of ‘North Korea’ in a Cold War United States”〉 , Understanding North Korea: Many Faces of ‘Juch’e'(The Mario Einaudi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Cornell University 주관 국제학술대회 발표), 2005.
  • 〈1945-50년대 국내 정치에 대한 미국의 개입〉 《현대사연구》 1, 2005.
  • 〈광주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정착과정〉 《1980년대 한국사회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 〈냉전 형성기 미국의 북한 인식〉 《현대사의 제문제》 1, 국사편찬위원회, 2005.
  • 〈The Emergence of ‘North Korea’ in a Cold War United States〉 《Working Paper Series》 Vol. 3, The Mario Einaudi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Cornell University, 2005.
  • 〈미․소 군정의 對 한국정책(1945~48)〉 《백범과 민족운동 연구》 3, 백범학술원, 2005.
  • 〈Leaflets, and the Nature of the Korean War as Psychological Warfar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7, No. 3,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ptember 2004.
  • 〈Guest Editor’s Introduction-War and Memory in Korean History〉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7, No. 3,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ptember 2004.
  • 〈6․25전쟁기 미군의 심리전 조직과 전개양상〉 《한국사론》 50,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4. 6.
  • 〈미․소 군정의 對 한국정책(1945~48)〉 , 백범기념관 개관 2주년기념 학술회의, 《광복직후의 건국운동과 백범 김구》, 2004. 10. 1.
  • 〈6․25전쟁기 미군의 삐라 심리전과 냉전 이데올로기〉 《역사와 현실》 2004년 봄호, 2004. 3. 30.
  • 〈시민과 국사: 고수와 해체 사이〉 《시민과세계》 2004년 상반기, 제5호, 참여사회연구소, 2004. 3.
  • 〈19세기말 20세기 초 외국 문헌에 나타난 우리나라 국호 영문표기〉 《역사비평》 통권 65호, 2003년 겨울, 2003. 11. 30.
  • 〈1940~50년대 미국의 한국 민족주의 인식 및 연구〉 , 학술단체협의회 편, 《우리 학문 속의 미국》, 한울아카데미, 2003. 11. 20.
  • 〈제휴와 배제의 이중주: 한국현대사에서 민족주의, 공산주의, 그리고 좌우 대립〉 《한국사회사상사연구》 화양 신용하교수 정년기념논총, 나남출판사, 2003. 3.
  • 〈1945년 말, 1946년 초 신탁통치 파동과 미군정〉 《역사비평》 통권 62호, 2003년 봄호, 2003. 2. 28.
  • 〈《주한미군사》 의 해방 직후 정치사 연구〉 《주한미군사와 미군정기 연구》, 백산서당, 2002. 12. 30.
  • 〈《주한미군사》 의 편사체계〉 《주한미군사와 미군정기 연구》, 백산서당, 2002. 12. 30.
  • 〈해방 전후 미국 대한정책사 관련 자료의 종류와 성격〉 《해방 전후사 사료 연구》 II, 선인출판사, 2002. 12. 26.
  • 〈제주4․3연구와 미군정 자료〉 《4․3과 역사》 1, 183~201쪽, 제주4․3연구소, 濟州, 2001. 7.
  • 〈한국전쟁시 미군 방첩대 조직 및 운용〉 《軍事史 硏究叢書》 第1輯, 39~90쪽,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 서울, 2001. 4.
  • 〈지식인의 삶을 통해 본 현대의 자화상〉 《내가 겪은 민주와 독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11.
  • 〈개인사에 반영된 해방과 분단〉 《내가 겪은 해방과 분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 편, 2001. 6.
  • 〈Struggle for Memory: Korean Contemporary History Studies at the End of Millennium〉 , 한국정신문화연구원.버클리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주최 국제 한국학 학술회의 “미국내 한국학의 미래”(The Future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역사 분과 주제발표 (2001. 5. 7~5. 8).
  • 〈1947년 미군정 내 정치참모부 설치논의와 그 함의〉 《외대사학》 12,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역사문화연구소, 2000. 8.
  • 〈해방 전후 미국 대한정책의 변화와 임정의 대응〉 《역사와 현실》 37, 한국역사연구회, 2000. 9.
  • 〈미군정기 웨드마이어 사절단의 방한과 미국 대한정책의 변화〉 《동양학》 30,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000. 6.
  • 〈태평양전쟁기 임정의 대미외교〉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 국가보훈처, 1999. 12.
  • 〈인식의 확대, 분절화와 세기말의 역사학〉 《역사학보》 164, 역사학회, 1999. 12.
  •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과 분단의 내외조건〉 《한국사의 국제환경과 민족문화》, 한국사연구회, 1999. 11.
  • 〈해방 전후 한반도 정세의 변화와 임정의 대응〉 《한국사 속의 세계화와 민족의식》, 한국역사연구회, 1999. 11.
  • 〈20세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제42회 전국역사학대회의 토론과 쟁점-〉 《정신문화연구》 22권 1호 (통권 74호), 1999 여름(1999. 7.)
  • 〈해제: 5.16과 박정희 정부의 성립〉 《5.16과 박정희 정부의 성립》 1, 2, 현대사연구소 자료총서 1, 2집, 1999.
  • 〈Richard D. Robinson의 한국현대사 이해〉 《해외학자 한국현대사 연구분석 2》, 백산서당, 1999. 11.
  • 〈북한의 정치와 경제〉 《한국현대사강의》, 돌베개, 1998. 8.
  • 〈이승만정부의 붕괴〉 《한국현대사의 재인식》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1998. 8.
  •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전쟁〉 《경기도 역사와 문화》, 경기도사편찬위원회, 1997. 12.
  • 〈미․소의 대한정책과 군정연구〉 《한국사론》 27, 국사편찬위원회, 1997. 12.
  • 〈《주한미군사》 의 편찬경위와 구성․서술의 특징〉 《韓國史學史硏究》, 于松 趙東杰先生 敎授停年紀念論叢 刊行委員會, 나남출판사, 1997. 9.
  • 〈조선공산당 내 ‘대회파’의 형성과정〉 《국사관논총》 70, 국사편찬위원회, 1996. 10.
  • 〈1942~47년 美國의 對韓政策과 過渡政府形態 構想〉 ,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6. 2.
  • 〈美軍政의 中道政策과 軍政內 推進基盤〉 《東洋學》 25,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5.
  • 〈미군정기 이승만의 ‘방미외교’와 미국의 대응〉 《역사비평》 가을호(계간 30호), 1995.
  • 〈History of US Policy Regarding the Occupation of Korea (1945-1948): Trends in Existing Research〉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17,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4.
  • 〈1947년의 철군논의와 미국의 남한 점령정책〉 《역사와 현실》 14, 1994.
  • 〈미국 국립문서관 소재 ‘노동’ 관련자료〉 《역사와 현실》 11, 1994.
  • 〈1920년대의 만주지역 민족해방운동〉 《한국사》 16, 한길사, 1994.
  • 〈해방이전 미국의 대한구상과 대한정책〉 《한국사연구》 83, 1993. 12.
  • 〈해방이전 미국의 대한 정책구상 자료〉 《역사와 현실》 9, 1993.
  • 〈미군정의 임정관계 보고서〉 《역사비평》 가을호(계간22호), 1993.
  • 〈자료소개: 일제하 전향공작에 대한 옥중투쟁기〉 《역사비평》 여름호(계간21호), 1993.
  • 〈북로당의 노선과 활동〉 《한국현대사》 1, 1990.
  • 〈청년․학생․여성․형평 운동〉 《쟁점과 과제:민족해방운동사》, 역사비평사, 1990.
  • 〈민중사관과 주체사상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 《한국민중론과 주체사상의 대화》, 풀빛사, 1989.
  • 〈1920년대 공산주의운동 연구〉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일송정출판사, 1989.
  • 〈남북한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인식의 특징〉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일송정출판사, 1989.
  • 〈신간회 조직의 한계와 반제민족통일전선〉 《역사비평》 겨울호, 역사비평사, 1989.
  •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의 전개〉 《한국근대민중운동사》, 돌베개, 1989.
  • 〈3·1운동에 나타난 노동자·농민의 진출〉 《역사비평》 봄호, 역사비평사, 1989.
  • 〈조국통일과 ‘남조선혁명론’〉 《월간 중앙》 1월호 별책부록 《오늘의 북한》, 중앙일보사, 1989.
  • 〈항일독립투쟁과 그 사상적 발전과정〉 월간 《엔터프라이즈》, 엔터프라이즈사, 1988.
  • 〈1907~1918년 ‘地方金融組合’ 활동의 전개〉 《韓國史論》 16 , 서울대 국사학과, 1987.
서평
  • Ed Evanhoe, Dark Moon: Eighth Army Special Operations in the Korean War (Naval Institute Press, Annapolis, Maryland, 1995), 《군사》 40호, 국방군사연구소, 2000. 6.
  •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서중석 저), 《역사비평》 여름호, 2000. 5.
  •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문제연구소 편), 《역사비평》 겨울호, 1998. 11.
  •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 (도진순 저), 《역사비평》 겨울호, 1997. 11.
결과보고서
  • 한일협력연구, 〈냉전기 한일 양국에서 ‘미국’의 존재: 그 인식과 표상〉, 2014.6.30.
  •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99-9-8-1,〈미국 국립문서기록청의 한국근현대사 관련자료 소장 현황과 이용 실태 조사〉, 1999. 12. 27.
  • 〈해외 한국학 문헌목록 기초조사〉 《한민족연구발전위원회보고서》 국무총리 자문 한민족연구발전위원회, 1999. 1. 31.
학력
  • 1996
  • 1985
  • 1983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19.04. ~ 현재
  • 2019.04. ~ 2021.04.
  • 2017.07. ~ 현재
  • 2017.05. ~ 현재
  • 2017.03. ~ 2018.02.
  • 2015.01. ~ 2015.12.
  • 2014.01. ~ 2014.12.
  • 2010.01. ~ 2011.02.
  • 2006.07. ~ 2008.06.
  • 2003.09. ~ 현재
  • 2001.07. ~ 2002.07.
  • 1997.06. ~ 2003.08.
  • 1996.09. ~ 현재
  • 1993.07. ~ 1996.06.
  • 1991.07. ~ 1992.12.
  • 1988.05. ~ 1990.06.
  • 1986.09. ~ 1997.05.
  • 국사편찬위원회 헌정사자료집 편찬위원장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제위원회 위원

  •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자문위원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자문위원

  •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 한국학연구소 객원교수

  •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 한국역사연구회 부회장

  • 존스홉킨스대 국제학대학원 객원교수

  • 역사와현실 편집위원

  • 서울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하바드-옌칭연구소 객원교수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조교수, 부교수

  • 국사편찬위원회 현대사 자문위원

  • 역사와현실 편집위원

  • 하바드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학과 객원연구원

  • 역사비평 편집위원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