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조선후기의 국가 운영과 정치, 평안도를 비롯한 서북지역의 사회발전에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현재 탐구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문제는 조선 후기 국가운영을 미시적으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국가 운영이 평범하고 전형적으로 진행되던 18세기의 한 해를 선택하여 ① 국왕으로부터 지방 정치세력에 이르는 정치 참여자의 구성과 위상, ② 국정 운영론 및 일상 의식, ③ 법률, 제도와 그 작동 원리, ④ 정책의 수립과 집행, ⑤ 국가 의례와 문화, ⑥ 대외관계의 내용과 형식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그 연구결과를 같은 시기 다른 나라의 국가 운영과 비교하여, 한국사가 세계사의 맥락 속에서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저서
-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 그물, 2020.
- 《정조와 정조 이후》 (共著), 역사비평사, 2017.
- 《국왕과 신하가 함께 만든 나라, 조선》 (共著), 국립고궁박물관. 2016.
- 《조선시대 정치, 틀과 사람들》,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0.
-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 시기》 (共著), 아카넷, 2003.
- 《역사콘텐츠의 실태와 개발방안에 대한 실무적 연구–인문정책연구총서》, 한국교육개발원 인문사회연구회, 2002.
- 《조선후기 평안도 사회발전연구》, 일조각, 2002.
- 《조선정치사 1800∼1863》 上·下 (共著), 청년사, 1990.
역서
- 《西繡日記 – 200년 전 암행어사가 밟은 5000리 평안도길》 (역해), 아카넷, 2015.
논문
- 〈조선시대 대비 지위와 인조반정의 재검토―계승범 교수의 『모후의 반역』 비판〉 《역사비평》 140, 역사문제연구소, 2022.
- 〈허공을 향한 휘어진 화살: 이지영 교수의 ⸢춘향전, 역사학자의 토론과 해석에 대한 서평⸥에 대한 반론〉 《동아문화》 58,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2021.
- 〈춘향 – 생존전략의 선택인가, 인격의 수호인가?: 정해은 선생의 서평 ⸢춘향은 여성인가, 민중인가?⸥에 대한 답변〉 《동아문화》 58,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2021.
- 〈조선시대 통치질서의 재검토〉 《동아문화》 57, 2019.
- 〈反正, 조선시대 군주 축출의 논리와 성격〉 《한국정치연구》 28-2, 2019.
- 〈현장과 전체상에 충실한 한국학을 위한 제언〉 《한국학》 42-2 (통권 155), 2019.
- 〈이광수 《일설춘향전》의 남녀의식과 신분의식〉 《韓國史論》 64, 2018.
- 〈병자호란에 대한 기억의 왜곡과 그 현재적 의미〉 《역사와 현실》 104, 2017.
- 〈춘향전에 담긴 저항의 원동력과 필연성〉 《韓國史論》 63, 2017.
- 〈오늘날의 역사학, 정조 연간 탕평정치 및 19세기 세도정치의 삼각대화〉 《역사비평》 116, 2016.
- 〈正祖 연간과 『日省錄』을 향한 ‘下而上’의 역사 탐구〉 《民族文化 》 47, 2016.
- 〈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선양론(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동방학지》 176, 2016.
- 〈조선후기 체제인식과 민중운동 試論〉 《한국문화》 60, 2012.
-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역사비평》 99, 2012.
- 〈춘향전에 담긴 일상의 문학적 형상화와 비판 의식〉 《진단학보》 114, 2012.
- 〈18세기 조선 정치사상과 그 전후 맥락〉 《역사학보》 213, 2012.
- 〈Accomplishments and Pathfinding in the Digitization of Kyujanggak Coll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acific Neighborhood Consortium Annual Conference and Joint Meeting: From Digital Content to Knowledge Asset》,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 Pacific neighborhood Consortium (국제학술대회 발표), 2010.
- 〈조선후기 야담과 소설에 담긴 사회적 갈등과 신분인식〉 《이태진선생 정년기념논총》, 태학사, 2009.
- 〈조선시대 평안도 출신 문신에 대한 차별과 통청〉 《한국문화연구》 15, 2008.
- 〈Images of Pyeongyang Reflected in Literary Works during the Late Choson Period 《Session 9 “The Northern Region in Korea”》 (Annual Meeting,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09, Atlanta, USA) (국제학술대회 발표), 2008.
- 〈청구야담에 나타난 조선후기 평양 인식과 그 성격〉 《한국사연구》 137, 2007.
- 〈Economic Growth in P’yongan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Pyongyang in the Late Choson Period〉《Korean Studies》 30, 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2006.
- 〈19세기 초 중국 八卦敎亂과 비교한 洪景來亂의 정치적 특성〉《대동문화연구》56, 2006.
- 〈2005년 신문 논설에 나타난 한국사인식〉《인문학연구》12, 2006.
- 〈The People’s Status Consciousness in Literary Works and the Hong Kyongnae Rebellion in the Late Choson Period〉《Roots of Egalitarianism in Korea》 University of Utah(국제학술대회 발표), 2006.
- 〈내력과 자취 – 조선시대〉《加平郡誌》 가평군사편찬위원회, 2006.
- 〈19세기 초 평안도 사회문제에 대한 지방민과 중앙관리의 인식과 정책〉《한국문화》36, 2005.
- 〈암행어사 길 -1822년 평안남도 암행어사 박내겸의 성실과 혼돈〉《역사비평》 2005. 겨울 (《역사, 길을 품다》 글항아리, 2007.)
- 〈Expectation and Policies of Pyeongan Provinc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The Northern Region, Identity, and Culture in Korea”(3rd Conference)》(The Harvard-Yenching Institute)(국제학술대회 발표), 2005.
- 〈청과의 외교 실상과 병자호란〉《한국사시민강좌》36, 2005.
- 〈Social Problems in Pyeongan Province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Perspectives from the Local and the Center〉《The Northern Religion, Identity, and Culture in Korea》 Harvard-Yenching Institute(국제학술대회 발표), 2004.
- 〈조선시대 지역사 인식의 지역적 성격〉《한국 지역주의의 현실과 문화적 맥락》 민속원, 2004.
- 〈17세기 조선의 정치세력과 산림〉《역사문화연구》18, 2003. (《17세기 한국 지식인의 삶과 사상》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 〈조선후기 평양과 그 인식의 변화〉《조선의 정치와 사회》 ,집문당, 2002.
- 〈인조반정과 서인정권에 대한 논란〉《한국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역사비평사, 2002.
- 〈조선후기 平壤과 그 認識의 변화〉 《朝鮮의 政治와 社會-최승희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집문당, 2002.
- 〈조선중기 정치세력의 신뢰구조와 그 한계〉 《한국사회 신뢰와 불신의 구조》, 小花, 2002.
- 〈조선후기 경상도·평안도 지역차별의 비교〉 《역사비평》 여름, 2002.
- 〈동계 정온의 정치활동과 그 이념〉 《남명학연구》 11, 2001.
- 〈18세기 평안도 武士層의 중앙 진출과 그 한계〉 《외대사학》 12, 2000.
- 〈The Economic Growth in Pyeongan Provi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ty of Pyeongya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Critical Issues in Korean Studies in the Millennium》(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Studies. 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국제학술대회 발표), 2000.
- 〈조선시대 지방 이서층 급료문제의 역사적 맥락 – 일본 전근대 대민행정과의 비교-〉 《역사와현실》 32, 1999.
- 〈신흠의 정치 활동과 정치 이념〉 《신흠의 생애와 문학》, 대전시 동구문화원, 1999.
- 〈붕당정치의 성립〉 《한국사》 30, 국사편찬위원회, 1998.
- 〈조선시대 장리 처벌의 추이〉 《역사학보》 157, 1998.
- 〈조선시대의 청백리 선발과 장리 처벌〉 《한국사시민강좌》 22, 1998.
- 〈18세기 평안도 저항세력 성장의 사회적 배경〉 《한국문화》 20, 1997.
- 〈세도정치의 성립과 운영구조〉 《한국사》 32, 국사편찬위원회, 1997.
- 〈세도정치의 전개〉 《한국사》 32, 국사편찬위원회, 1997.
- 〈17세기 집권층의 평안도 통치론〉 《규장각》 20, 1997.
- 〈조선후기 평안도 유생층의 중앙 진출과 그 한계〉 《한국사의 이해》, 경인문화사, 1996.
- 〈조선후기 평안도 지역차별의 극복 방향〉 《역사비평》 33, 1996.
- 〈17, 18세기 평안도 유생층의 정치적 성격〉 《한국문화》 16, 1995.
- 〈17세기 평안도민에 대한 인사 정책〉 《진단학보》 80, 1995.
- 〈17, 18세기 평안도 유생, 무사층 성장의 사회경제적 배경〉 《규장각》 18, 1995.
- 〈18세기 영조 정조의 평안도에 대한 정책〉 《역사와현실》 17, 1995.
- 〈홍경래난 봉기군의 최고 지휘부〉 《국사관논총》 46, 1993.
- 〈홍경래난의 주도세력과 농민〉 《1894년 농민전쟁연구》 2, 역사비평사, 1992.
- 〈세도정치를 다시 본다〉 《역사비평》 12, 1991.
- 〈조선후기 정치운영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 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한울, 1987.
- 〈仁祖代 정치세력의 동향〉 《한국사론》 13, 1985.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범조사, 1985.)
해제 및 평론
- 〈한국 사회의 차별과 혐오에 대한 역사학의 고민〉 《역사와현실》 111, 2019.
- 〈역사학 전공자의 조선후기 소설 읽기〉 《한국사, 한 걸음 더》, 푸른역사, 2018.
- 〈평안도에서 자란 저항의 주체들 –조선후기 민의 성장과 홍경래의 난〉 《전란으로 읽는 조선》, 글항아리, 2016.
- 〈Book Review: Voice from the North: Resurrecting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Life and Work of Yi Sihang (1672–1736)〉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11, issue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 〈최명길 – 시대의 소인, 역사의 거인〉 《현실주의자를 위한 변명》, 동녘, 2013.
- 〈서평: 문학의 시각에서 확인하는 조선후기 정치사의 기초 – 정병설, “권력과 인간: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문학동네, 2012〉 《민족문학사연구》 48, 2012.
- 〈2011 역사 교육과정과 ‘자유민주주의’의 현실〉 《역사와 현실》 81, 2011.
- 〈한국사학의 의제 설정을 위하여〉 《역사와 현실》 78, 2010.
- 〈서평 : 홍경래의 난, 폭넓은 시각과 수많은 논쟁거리(김선주)〉 《역사비평》 83, 2008.
- 〈조선후기사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위하여 -오종록 교수의 서평에 대한 반론-〉 《역사와현실》 47, 2003.
- 〈조선시대 국가‧민족체의 허와 실〉 《역사비평》 58, 2002.
- 〈兩銓便攷 해제〉 《兩銓便攷 ‧ 銀臺條例》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 〈銀臺便攷 해제〉 《銀臺便攷》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 〈銀臺條例 해제〉 《銀臺條例》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 〈일관된 주장과 투명한 행적이 올바른 선택을 낳는다 -최명길과 김상헌-〉 《역사의 길목에 선 31인의 선택》 (共著) 푸른역사, 1999.
- 〈최명길과 김상헌〉 《역사비평》 46, 1998.
- 〈景慕宮儀軌 해제〉 《景慕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해제〉 《高宗御眞圖寫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慈慶殿進爵整禮儀軌 해제〉 《慈慶殿進爵整禮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純祖己丑進饌儀軌 해제〉 《純祖己丑進饌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高宗壬寅進宴儀軌 해제〉 《高宗壬寅進宴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翼宗代聽時日錄 해제〉 《日省錄》 제85책,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6.
- 〈어린 왕은 왕 노릇을 할 수 있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1996.
- 〈광산으로 몰려드는 사람들〉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1996.
- 〈正祖國葬都監儀軌 해제〉 《正祖國葬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 〈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해제〉 《正祖健陵山陵都監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5.
- 〈園幸乙卯整理儀軌 해제〉 《園幸乙卯整理儀軌》.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4.
- 〈漂人領來謄錄 해제〉 《漂人領來謄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3.
- 〈典客司別謄錄 해제〉 《典客司別謄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1992.
- 〈『인조조의 반정공신세력에 대한 연구』의 분석〉 《역사비평》 13, 1991.
학력
- 1996
- 1984
- 1982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17.01. ~ 2018.12.
- 2016.12. ~ 2017.12.
- 2015.09. ~ 2017.08.
- 2014.11. ~ 2016.10.
- 2013.07. ~ 2014.07.
- 2009.12. ~ 2010.12.
- 2009.09. ~ 현재
- 2003.08. ~ 2004.07.
- 1997.09. ~ 2009.08.
- 1989.04. ~ 1997.08.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 한국역사연구회 회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과장
- 서울대학교 평의원
- Leiden University Institute for Area Studies (LIAS; 네덜란드) 방문학자
- 한국역사연구회 편집위원장
- 서울대학교 부교수, 교수
- Harvard-Yenching Institute, 공동연구학자
- 한림대학교 사학과 전임강사~교수
- 서울대학교 규장각 조교,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