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주 연구 분야는 한국 고대의 국가 형성과 사회구조, 무덤과 취락, 유라시아 교류 등에 걸쳐 있다. 백제 왕성인 서울 풍납토성의 발굴조사를 주도하였으며, 2009년 이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러시아 내 투바공화국, 베트남 등지의 해외유적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저서
- 《아시아의 구슬문화》 (共著), 국립나주박물관, 2022.
- 《미래를 여는 한국고대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 《한신고고학 30주년 기념논총》 (共著), 한신고고학 30주년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2022.
- 《가야사의 제문제 -가야사 새로 보기-》 (共著), 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 2022.
- 《한국 고대 고분과 유라시아 쿠르간의 매장 프로세스》 (共著),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 《쿠르간의 확산과 유라시아 동부 고분문화》 (共著),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 《부여, 고구려, 발해 고분과 유라시아 북부 고분의 비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
- 《사비백제사 3 : 백제와 함께 한 의자왕》 (共著), 부여군, 2022.
- 《사비백제사 2 : 불국토의 나라 유려한 백제문화》 (共著), 부여군, 2022.
- 《토기와 도자기》 (共著),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2022.
- 《5세기 왜와 동아시아》 (共著), 일본 사카이시박물관, 2022.
- 《무령왕릉,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共著), 국립공주박물관, 2021.
-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共著), 송기호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2021.
- 《오색영롱》 (共著), 국립경주박물관, 2021.
- 《柳本照男樣古稀記念論文集》 (共著, 日文), 2020.
- 《스러져간 백제의 함성》 (共著), 주류성출판사, 2020.
- 《백제는 부여를 계승하였나》 (共著), 백제학연구총서 쟁점백제사17, 한성백제박물관, 2020.
- 《요리 금동관 다시 깨어나다》 (共著), 화성시역사박물관, 2020.
- 《땅속에서 찾은 화성의 역사》 (共著), 화성시, 2020.
- 《사람의 출현과 지역공동체의 발전》 (共著), 화성시, 2020.
-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21세기 북스, 2020.
- 《영산강유역 마한사회와 백제의 유입》 (共著), 학연문화사, 2020.
- 《무령왕릉 다시보기》 (共著), 한성백제박물관, 2019.
- 《馬の考古學》 (共著), 雄山閣, 2019.
- 《화성시 발굴 유적과 유물의 재조명》 (共著), 화성시, 2019.
- 《일본 속의 백제 – 혼슈, 시코쿠 지역》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19.
- 《한국 전통시대 토목문명사》 (共著), 들녘, 2019.
- 《해상 실크로드와 동아시아 고대국가》, 아시아문화연구원, 2019.
- 《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류–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共著),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초기 백제사의 제문제》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18.
- 《가야고분군》1 (共著),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 《일본 속의 백제 긴키지역》1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17.
- 《가야인의 불교와 사상》(共著), 주류성, 2017
- 《한국고대사 산책》(共著), 한국역사연구회, 2017.
- 《판교박물관》(共著), 성남시 판교박물관, 2017.
- 《우리 시대의 한국 고대사》2(共著), 주류성. 2017.
- 《신라 우물》(共著),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5.
- 《槪說 韓國考古學》(共著), 同成社, 2013.
-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 (共著),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3.
- 《한국해양사 1》 (共著), 한국해양재단, 2013.
- 《한국역사민속학강의》 (共著), 민속원, 2010.
-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09.
- 《히스토리카 한국사 신라-가야편》 (共著), 이끌리오, 2009.
- 《천번의 붓질, 한번의 입맞춤》 (共著), 진인진, 2009.
- 《유적․유물로 본 백제(Ⅰ·Ⅱ)》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 《백제 역사와 문화》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 《한국고대사 연구의 새 동향》 (共著), 서경문화사, 2007.
- 《한국문화와 유물유적》 (共著),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7.
- 《한국고고학강의》 (共著), 사회평론, 2007.
- 《동아시아 문명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2005.
-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共著), 청년사, 2000.
- 《시민을 위한 가야사》 (共著), 집문당, 1996.
-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 (共著), 역사비평사, 1994.
논문
- 〈Cultural Exchange and International Interaction in East Asia as seen through the Tomb of King Muryeong〉 《JOURNAL OF KOREAN ART & ARCHAEOLOGY》 16, NATIONAL MUSEUM OF KOREA, 2022
- 〈한국 고대사 연구의 미래를 위하여〉 《역사와 현실》 122, 한국역사연구회, 2021.
- 〈백제 국가형성사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안〉 《韓國史論》 67, 서울대 국사학과, 2021.
- 〈한강유역에서 삼국-통일신라 와전문화의 전개〉 《한국기와학보》 3, 한국기와학회, 2021.
- 〈최근 조사된 백제한성기 횡혈식석실묘〉 《柳本照男さん古稀記念論集 –忘年之交の考古學-》, 柳本照男さん古稀記念論集刊行委, 2020.
- 〈고대 동남아시아 내륙부의 묘제와 장제〉 (共著) 《아시아리뷰》 10(1), 2020.
- 〈榮山江流域の古代政治體を見とおす多樣な視角〉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 217, 國立歷史民俗博物館, 2019.
- 〈백제와 부여의 계승성 여부에 대한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61, 동북아역사재단, 2018.
- 〈백제고분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조성을 통해 본 수입과 유통〉 《고고학》 16, 중부고고학회, 2017.
- 〈한반도에 수입된 유리구슬의 변화과정과 경로〉 《호서고고학》 37, 호서고고학회, 2017.
- 〈낭아수국과 해남제국의 세계〉 《백제학보》 20, 백제학회, 2017.
- 〈동남아시아 고대국가의 수리시설과 수자원 관리체계〉 《한국상고사학보》 92, 한국상고사학회, 2016.
- 〈베트남 옥 에오(Oc Eo)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재질 및 특성 연구〉(共著) 《文化財》 49(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 〈풍납토성 출토 시유도기의 제작공정 일면〉 《고손명조선생추모논문집 우정의 고고학》, 2015.
- 〈The Material Culture of the Royal City Identified in the Peripheral Regions of Baekje〉 《Journal of Jorean Art & Archaelogy》, 2015.
- 〈백제와 군마지역의 교섭〉 《우행 이상길교수 추모논문집》, 2015.
-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文化財》 48,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 〈마한 분구묘의 출현과정과 조영집단〉 《백제학보》 14, 백제학회, 2015
- 〈카스피해 서안-코카서스 남록에서 동서 문화의 접변〉 《역사학보》 226, 역사학회, 2015.
- 〈풍납토성 축조전야〉 《풍납토성, 건국의 기틀을 다지다》, 한성백제박물관, 2015.
- 〈백제와 동남아시아의 교섭에 대한 검토〉 《충청학과 충청문화》 19, 2014.
- 〈해외 문화재조사의 연구성과와 방향〉 《한국매장문화재조사연구방법론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 〈한국 고대사 연구를 위한 베트남 자료의 활용〉 《한국고대사 연구의 시각과 방법》, 사계절, 2014.
-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보》85, 2014.
- 〈토목기술과 도성조영〉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진인진, 2014.
- 〈몽촌토성을 통해 본 백제 왕궁의 실체〉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 〈武寧王陵の發見とその意義〉 《韓國の歷史》, 2013.
- 〈서울시내 백제유적의 활용방안〉 《고문화》 81, 2013.
- 〈동아시아 능묘문화와 백제 능묘의 위상〉 《백제의 능묘와 주변국 능묘의 비교연구》,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3.
- 〈住居構造と炊事文化からみた百濟系移住民の畿內地域への定着とその意味〉 《古代學硏究》 197, 2013.
- 〈삼국시대 壁柱(大壁)건물연구, 그 後〉 《한일취락연구》, 서경문화사, 2013.
- 〈백제 한성기의 도성과 지방도시〉 《고고학》 11, 2012.
- 〈한국고고학 연구에서 풍납토성의 가치〉 《동북아시아 속의 풍납토성》, 학연문화사, 2012.
- 〈고대 성토구조물의 재료에 대한 재인식〉 《백제와 주변세계》, 진인진, 2012.
- 〈이명박정권 매장문화재 정책의 문제점〉 《역사비평》 100, 2012.
- 〈백제와 서역의 문물교류에 대한 시론〉 《백제연구》 55, 2012.
- 〈繼體王朝의 등장을 둘러싼 고고학적 환경 –무령왕대 백제와 왜의 교섭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작업-〉 《백제문화》 46, 2012.
- 〈백제의 말 사육에 대한 새로운 자료〉 《21세기의 한국고고학》, 주류성, 2012.
- 〈한반도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시각과 연구방법론〉 《한국출토 외래유물》,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 〈한성백제의 물류 거점, 풍납토성의 면모〉 《중부지역의 고고문화와 역사》,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1.
- 〈상장제와 묘제〉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 〈Public Archaeology of Korea –A Duet of Popularity and Nationalism-〉 《New Perspectives in Global Public Archaeology》, Springer, 2011.
-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한강고고》 5, 2011.
- 〈百濟最初的王城 –風納土城之調査〉 《東南文化》 220, 2011.
- 〈한성백제의 시간적 상한과 하한〉 《백제연구》 53, 2011.
- 〈마한의 종족성과 공간적 분포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60, 2010.
- 〈고대 성토구조물의 축조기술과 의림지〉 《의림지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양상》, 제천시, 2010.
- 〈일본 나라분지 남부의 최신 발굴조사 성과〉 《백제학보》 3, 2010.
- 〈4-6세기 백제고분의 변천과 왕권〉 《고대 왕권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10.
- 〈백제 변경에서 확인되는 왕경인의 물질문화〉 《한국상고사학보》 67, 2010.
-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고고학》 8-2, 2009.
- 〈백제고분의 부장품에서 보이는 특징〉 《백제인의 무덤》,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9.
- 〈最近の風納土城慶堂地區の發掘成果〉 《古代學硏究》 181 (共著), 2009.
- 〈고대 제주와 동아시아〉 《유적과 유물을 통해 본 제주의 역사와 문화》, 서경문화사, 2009.
- 〈동아시아 문화강국 백제의 상징, 무령왕릉〉 《한국사시민강좌》44, 2009.
- 〈고분과 고대사회〉 《한국매장문화재조사연구방법론》,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 〈고대의 裸耕〉 《고고학》 7, 2008.
- 〈백제의 문물교류 양상에 대한 유형화 시론〉 《대백제국의 국제교류사》,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8.
- 〈섬진강유역 삼국시대 취락과 주거지〉 《백제와 섬진강》, 서경문화사, 2008.
-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지방사와 지방문화》 11-2, 2008.
- 〈토기의 유통을 통해 본 백제와 가야의 교섭〉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008. (共著)
- 〈백제 한성양식 토기의 유통망 분석〉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008. (共著)
- 〈백제의 생산기술과 유통체계 이해를 위하여〉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2008.
- 〈The Influence of Recent Archaeological Discoveries on the Research of Paekche History〉 《Early Korea》, Havard University, 2008.
- 〈百濟王都の祭祀〉 《東アジアにおける宗敎文化の總合的硏究》, 佛教大学アジア宗教文化情報研究所, 2008.
- 〈壁柱建物에 나타난 백제계 이주민의 일본 畿內地域 정착〉 《한국고대사연구》 49, 2008.
- 〈백제 한성도읍기 문화유산의 분포양상과 활용방안〉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송파구, 2007.
- 〈토기와 기와생산〉 《백제의 사회경제와 과학기술》,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고고자료로 본 지방사회〉 《백제의 정치제도와 군사》,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선진문물의 수용〉 《웅진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 〈무령왕릉 진묘수의 계보와 사상적 배경〉 《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Ⅱ)》, 국립공주박물관, 2006.
- 〈경기지역 백제고고학의 최근 성과와 연구의 미래〉 《호서고고학》 15, 2006.
- 〈삼국시대 벽주건물 연구〉 《한국고고학보》 60 (共著), 2006.
- 〈유물과 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의 관〉《고고자료에서 찾은 고구려인의 삶과 문화》, 2006.
- 〈무지와 만용이 빚은 최악의 오보, 서울의 전방후원분〉 《고고학》 5-1, 2006.
- 〈고고학자료로 본 백제와 왜의 관계〉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 〈백제문화의 이해를 위한 중국 육조문화 탐색〉 《한국고대사연구》 37, 2005.
- 〈경기남부지역 백제유적의 분포양상과 역사적 의미〉 《백제연구》 40 (共著), 2004.
- 〈물자, 기술, 사상의 흐름을 통해 본 백제와 낙랑의 교섭〉 《한성기 백제의 물류시스템과 대외교섭》, 학연문화사, 2004.
- 〈백제의 주거지 〉《백제문화의 원형》, 공주대학교, 2004.
- 〈단군릉사건과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북한의 역사만들기》, 푸른역사, 2004.
- 〈백제의 대중교섭의 진전과 문화변동〉 《강좌 한국고대사》 4,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4.
- 〈한성기 백제기와의 제작전통과 발전의 획기〉 《백제연구》 38, 2003.
- 〈길성리토성과 사창리고분〉 《경기지역의 역사와 문화》,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3.
- 〈상장제를 중심으로 한 무령왕릉과 남조묘의 비교〉 《백제문화》 31, 2002.
- 〈방어취락의 발전과 토성의 출현〉 《강좌 한국고대사》 7,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 〈풍납토성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백제연구》 36, 2002.
- 〈풍납토성 경당지구에서 출토된 말뼈의 의미〉 《마사박물관지》,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1.
- 〈가야제국의 사회발전단계〉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 〈伯濟國에서 百濟로의 전환〉 《역사와 현실》 40, 2001.
- 〈백제 전기 기와에 대한 신지견〉 《백제연구》 33, 2001.
- 〈고대 한국의 상장의례〉 《한국고대사연구》 20, 2000.
- 〈무덤에 나타난 불평등성의 발생과 심화과정〉 《한국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카넷, 2000.
- 〈고구려, 백제의 문자와 기호〉 《한국고대인의 문자생활》, 국립청주박물관, 2000.
- 〈한국고대의 새(鳥)관념과 제의〉 《역사와 현실》 32, 1999.
- 〈고대국가 형성의 지표와 탐라국의 발전수준〉 《제주도》, 1998.
- 〈죽막동제사의 목적과 주체〉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연구》, 국립전주박물관, 1998.
- 〈개발에 밀린 서울 강남의 백제유적〉 《역사비평》 38, 1997.
- 〈한국고대의 취락과 주거〉 《한국고대사연구》 12, 1997.
- 〈사로육촌의 위치문제와 수장의 성격〉 《신라문화》 16, 1997.
- 〈해방 이후 한국고고학의 발달이 한국고대사 연구에 끼친 영향〉 《지역과 역사》 3, 1997.
- 〈The Recent Trends and Problems in the Studies of Kaya History〉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7, 1997.
- 〈중서부 지방의 초기철기문화와 衆國의 대두〉 《부산사학》 31, 1996.
- 〈미사리취락과 몽촌토성의 비교를 통해 본 한성기 백제사회의 단면〉 《한국고대사논총》 8, 1996
- 〈삼한사회 “國”의 구성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10, 1995.
- 〈백제의 기원〉 《한국사》 6 (공저), 국사편찬위원회, 1995.
- 〈백제의 성립과 발전〉 《한국사》 6 (공저), 국사편찬위원회, 1995.
- 〈원시시대의 인식체계〉 《한국역사입문 1 원사-고대편》, 풀빛, 1995.
- 〈삼한 국읍의 기능과 내부 구조〉 《부산사학》 12, 1995.
- 〈순장을 통해 본 고대사회〉 《역사비평》 21, 1993.
- 〈강상묘와 고조선사회〉 《고고역사학지》 8, 1993.
- 〈단군신화, 어떻게 봐야 하나〉 《역사비평》 19 , 1992.
- 〈고대영남지방의 순장〉《한국고대사논총》 4, 1992.
- 〈중서부지방 백제토광묘에 대한 시론적 검토〉 《백제연구》 22, 1991.
- 〈고조선사 연구의 동향과 그 내용〉 《북한의 고대사연구》, 1991.
- 〈4세기 백제의 지방통제방식 일례–동진청자의 유입경위를 중심으로-〉 《韓國史論》18, 1988.
-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본 백제와 중국의 문물교류〉 《진단학보》 66, 1988.
- 〈승주 대곡리 주거지 발굴약보〉 《문화재》 20(共著), 1987.
- 〈초기백제의 성장과정에 관한 일고찰〉 《韓國史論》 15, 1987.
-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본 백제초기의 영역고찰〉 《천관우선생환력기념한국사학논총》(共著), 1985.
학력
- 1996
- 1986
- 1984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22.02. ~ 현재
- 2020.05. ~ 현재
- 2019.10. ~ 현재
- 2019.08. ~ 현재
- 2019.05. ~ 현재
- 2018.01. ~ 2019.12.
- 2017.09. ~ 2018.08.
- 2015.03. ~ 현재
- 2014.01. ~ 현재
- 2012.01. ~ 2013.12.
- 2010.01. ~ 2011.12.
- 2008.01. – 2011.12.
- 1998.03. – 2015.02.
- 1997.01. – 1998.12.
- 1992.03. – 1998.02.
- 1988.09. – 1992.02.
- 서울대학교 박물관장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플러스 사업단 부단장
- 서울대학교 박물관 운영위원회 위원
-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추진단 자문위원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매장문화재분과, 동산문화재분과)
- 백제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학과장
- 서울대학교 교수
- 중부고고학회 회장
- 중부고고학회 부회장
- 백제학회 총무이사
- 한국고고학회 기획위원
- 한신대학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한국고대사학회 총무이사
- 동아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