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나

연구 분야 대중, 감성, 서사를 키워드로 근현대 사회문화의 역사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문화 현장의 문제의식을 학문적 의제로 전환하고 학문적 의제를 문화 기획으로 확산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연구분야는 한국 근현대 사회문화사, 남북문화 비교, 공공역사 등이다. 저서 (단독)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 푸른역사, 2013. 《국가와 영화》, 혜안, 2013. 저서 (공동) 《Korean Film and History》 (共著), Routledge, 2023. […]
박성현

연구 분야 한국 고대사 전공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역사 지리, 공간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 《대가야의 도성》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영남대학교 박물관, 2020. 《대가야의 악(樂): 가야금과 우륵 12곡》 (共著),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共著),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경북문화재단, 2019. 《한국학 자료 읽기》 (共著), 21세기사, 2018. 《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동향》 […]
허수

연구 분야 ‘역사 속의 인간’이라는 전통적인 주제를 지식인에 대한 사상사적 접근,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해외 이주민에 대한 관심 등 세 방면에서 탐구해왔다. 향후 종교와 정치의 관계, 한국 근현대사학사 등에 관한 연구를 병행하면서 그동안의 문제의식을 심화·확충하려고 한다. 저서 《디지털 인문학과 근대한국학: 디지털의 눈으로 한국학을 읽다》(共著), 소명출판, 2020.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共著), 역사비평사, 2013. 《두 […]
정용욱

연구 분야 사료의 확대를 통한 역사 서술 주체의 확장, 역사 해석의 다양성 확보에 관심이 많다. 사회적 소통의 수단이자 에고도큐먼트인 편지 자료를 활용해 8·15 이후 3년 동안 한국인들이 겪은 해방과 미 점령의 역사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 《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共著),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2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 민음사, 2021. 《혁명과 민주주의》 (共著), 경인문화사, […]
정요근

연구 분야 고려시대 지방제도 및 지방사회, 한국 역사지리 및 역사 GIS 저서 《울진군지 제1권》 (共著), 울진군, 2022. 《서울 동의 역사 강북구 제1권》 (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22. 《시민의 한국사1 – 전근대편》 (共著), 돌베개, 2022. 《조선시대 개성유람기》 (共著), 혜안, 2021. 《삼국의 쟁탈과 고려 지방사회의 성립》 (共著), 화성시, 2020. 《땅속에서 찾은 화성의 역사》 (共著), 화성시, 2020. 《중학교 역사②》 (共著) […]
이동원

연구 분야 한미관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냉전사, 경제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과학기술사, 의료사, 남북한관계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저서 《근현대 서울의 공공의료 형성》 (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21.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共著), 선인, 2020.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미국 소재 기관 및 대학도서관 자료 편람》 (共著), 국사편찬위원회, 2019. 《6·25전쟁과 1950년대 서울의 사회변동》 (共著), 서울역사편찬원, 2018. 《해방의 공간, 점령의 시간》 (共著), […]
문중양

연구 분야 조선후기 사대부 지식인들의 우주론과 과학담론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다. 특히 서양과학 전래 이후 조선후기의 지식인들이 전래된 이질적인 과학지식의 정보들을 어떻게 해체해서 새로운 과학지식을 형성해 갔는지 고찰하는 데 주목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우주론을 중심으로 천문학과 지리학이며, 지성사에 대한 문화사적 독법을 추구하려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18세기와 19세기 초반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지만, 점점 19세기 후반과 근대계몽기, 그리고 17세기로 […]
남동신

연구 분야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전개 과정에 끼친 불교의 영향을 역사학의 관점에서 해명하는 데 주된 관심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20여 년간 원효 등의 주요 승려, 황룡사 등의 주요 사찰, 삼국유사 등의 불교 문헌(금강삼매경 등의 위경도 포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아울러 불교와 국가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한국적 특색이 두드러진 몇몇 불교제도를 고찰하였으며, 한국 중세 사상의 […]
김경숙

연구 분야 고문서와 일기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회 문제와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양상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청원 · 소송 문서에 나타나는 사람들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共著), 현북스, 2022. 《밀암(密庵) 이재(李栽) 문파(文波) 연구 : 18세기 영남학자의 지적 지형도》 (共著),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도시로 읽는 조선: 공간을 통해 본 우리 […]
김건태

연구 분야 조선시대 농업사 및 인구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기(日記), 추수기(秋收記), 양안(量案)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농법, 농업 생산성, 농업경영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호적, 족보 등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결혼연령, 재혼율, 출산력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 《조선왕조 호적,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위하여》 (共著),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0. 《中国古文书学研究初编》 (共著), 上海考籍出版社, 2019. 《대한제국의 양전》, 경인문화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