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은 2023년 국사학과, 동양사학과, 서양사학과 등 3개 사학과(이하 “삼사과”)가 통합됨으로써 만들어졌다. 기존 서양사학과는 1969년 문리과대학 사학과가 삼사과로 분리됨에 따라 창설되었다. 1975년에 서울대학교가 관악캠퍼스로 이전·종합화될 때 문리과대학이 인문대학과 사회과학대학, 그리고 자연과학대학으로 분리되자, 서양사학과는 인문대학의 일원으로 재편되었다. 서양사학과는 한국의 서양사 교육과 연구에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며 우수한 인재들을 배출해 왔으며, 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 또한 그러할 것이다.
서양사학전공의 교육 목표는 서양 문명의 변천 과정과 그 세계사적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있다. 따라서 서양사학전공의 교수와 학생들은 서양 문명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이 한국과 동양을 비롯한 전지구적인 역사적 변화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교과과정에서는 서양사를 시대별, 지역별, 주제별로 나누어 널리 학습하며 서양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역사학적 사고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 서양사와 동양사, 그리고 한국사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며 역사학적 연구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도 노력한다. 서양사학전공은 그럼으로써 인간과 사회에 대한 역사적 안목을 기르고자 한다.
서양사학전공의 연구 영역은 크게 시대나 지역에 따라 구분된다. 시대에 따라서는 고대사, 중세사, 근대사, 현대사로 구분되며, 지역별로는 유럽사, 아메리카사, 아프리카사, 오세아니아사로 구분된다. 더 나아가 영국사, 독일사 등 국가별로 구분될 뿐 아니라 정치사, 경제사, 사회사, 문화사 등, 분야별로 구분되기도 한다. 그 외에 여성사, 환경사, 지구사처럼 연구 대상에 따라 구분되는 영역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서양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 철학뿐 아니라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과도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양사학전공은 학제적 접근을 강조한다. 서양사를 포함해 역사학은 사람들의 삶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전공이수표준
학년 / 학기 | 구분 | I | II |
---|---|---|---|
1/2 | 역사학부 공통 | 역사공부의 기초 | 역사학세미나 |
세계 유산으로 보는 역사 | 대중 문화 속의 역사 읽기 | ||
역사와 디지털 인문학 | |||
서양사학 전공 | 서양사를 보는 시각 | 사료로 보는 서양사 | |
서양의 고대문명 | 서양중세사 | ||
3 | 역사학부 공통 | 한문사료 강독1 | |
한문사료 강독2 | |||
원어로 읽는 유럽사 | |||
영어로 역사 읽기 | |||
역사학의 역사 | |||
서양사학 전공 | 서양근대사 1: 르네상스에서 프랑스혁명까지 | 서양근대사 2: 긴 19세기의 역사 | |
20세기 전반의 역사 | 20세기 후반의 역사 | ||
독일사 | 영국사 | ||
이탈리아사 | 러시아사 | ||
근대서양의 인종과 식민주의 | 동서양 법문화와 생활 | ||
4 | 역사학부 공통 | 역사학 논문쓰기1 | |
역사학 논문쓰기2 | |||
역사학 논문쓰기3 | |||
젠더로 이해하는 역사 | 국제관계사 특강 | ||
글로벌 생태환경사 | |||
서양사학 전공 | 서양사 세미나 | 서양사 특강 | |
미국사 | 프랑스사 | ||
글로벌 해양사 |
이수학점표
구분 | 공통 | 서양사 | 교차이수 | 합 | |||
---|---|---|---|---|---|---|---|
한국사 | 동양사 | 선택 | |||||
주전공 | 12 | 12 | 6 | 6 | 3 | 39 | |
복수전공 | |||||||
심화전공 | 12 | 27 | 9 | 9 | 3 | 60 | |
부전공 | 12 | 9 | – | – | – | 21 | |
*선택학점은 서양사 과목군 제외 |
교과목 이수규정
[공통과목군 필수 이수 요소]
- ① ‘역사 공부의 기초’ 또는 ‘역사학 세미나’ 중 한 과목
- ② ‘역사학 논문쓰기’ 1, 2, 3 중 한 과목
- ③ ‘원어로 읽는 유럽사’ 과목
[전공과목군 필수 이수 요소]
- ④ ‘서양사를 보는 시각’ 또는 ‘사료로 보는 서양사’ 중 한 과목
[전공 유형별 이수 조건]
- 주전공/복수전공/심화전공 : ①~④
- 부전공 : ①, ③, ④
* 역사학부 소속 학생이 학부 내 다른 전공을 복수전공/부전공하는 경우에는 각 전공의 졸업 요건을 중복 교과목 없이 각각 충족해야 한다.
- 예시) 한국사학 전공자가 동양사학을 복수전공하는 경우, 주전공 공통과목군 졸업요건 ①로서 ‘역사 공부의 기초’를 이수한 경우, 복수전공 졸업요건으로는 ‘역사학 세미나’를 추가로 이수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