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청말의 정치, 사회와 경제사
청말 조선과 청 사이의 국경분쟁(국경조사 및 회담)
저서
- 『(주제로 보는)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20.
- 『1880년대 조선-청 공동감계와 국경회담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 『조선시대 한중관계사』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18
-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근대편』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18.
- 『近代韓國外交文書 8·9·10·11-甲申政變 1·2·3·4』 (共著),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사료로 보는 아시아사』 (共著), 위더스북, 2014.
- 『동아시아 역사 속의 신해혁명』 (共著), 한울아카데미, 2013.
- 『중국의 청사 편찬과 청사 연구』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중국 역사학계의 청사연구 동향 : 한국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共著)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아틀라스 중국사』 (共著) 사계절 출판사, 2007.
- 『한국의 국경영토자료에 대한 해제 및 연구 1: 결과보고서 3 – 번역편(오록정, <<연길변무보고>> 번역)』, 국사편찬위원회, 2005.
- 『청말 신정기의 연구 – 강소성의 신정과 신사층』,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역서
- 『복혜전서』 1~3 (黃六鴻 著),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국역 『淸季中日韓關係史料』 1~5 (共譯), 동북아역사재단, 2012~2020.
- 『(서문으로 보는) 중국의 역사 사상』, 위더스북, 2017.
- 『1880년대 조선-청 국경회담관련자료선역』,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 『근대한국외교문서 제7권 임오군란2』 (共譯),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근대한국외교문서 제6권 임오군란1』 (共譯),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근대한국외교문서 제5권 조영수호통상조약』 (共譯), 동북아역사재단, 2012.
『근대한국외교문서 제4권 조미수호통상조약』 (共譯), 동북아역사재단, 2012.
『근대한국외교문서 제3권 조일수호조규』 (共譯), 동북아역사재단, 2012. - 『진인각, 최후의 20년-어느 중국 지식인의 운명』 (陸鍵東 著, 共譯), 사계절, 2008.
- 『중국현대사상사론』 (李澤厚 著), 한길사, 2005.
- 『신중국사(증정판)』 (共譯) 까치출판사, 2005.
- 『中國現代思想史의 屈折』 (李澤厚 著), 지식산업사, 1992
논문 (국문)
- 「동양사분야의 회고와 전망 – 외연의 확대와 질적 심화,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 『歷史學報』 247, 2020.
- 「양계조회의 소개」, 『동양사학연구』 152, 2020.
- 「문헌연구와 실지답사를 결합한 한중 국경문제의 재검토」, 『동양사학연구』 151, 2020.
- 「19세기 근대 한중관계의 변용 – 자주와 독립의 사이-」, 『동양사학연구』 140, 2017.
- 「최근의 명청대 한·중관계사 연구와 ‘신청사’-연구동향의 분석과-전망」, 『동북아역사논총』 53, 2016.
- 「명·청 시대 중국의 관잠서 -황육홍(黃六鴻)과 『복혜전서(福惠全書)』를 중심으로」, 『다산과 현대』 7, 2014.
- 「吳大澂과 1880년대 淸ㆍ러 동부국경감계」, 『中國近現代史硏究』 60, 2013.
- 「淸末 革命派의 내셔널리즘 – 吳祿貞과 『延吉邊務報告』」, 『中國近現代史硏究』 54, 2012.
- 「신해혁명 100주년을 기념하여」, 『지식의 지평』 10, 2011.
- 「近代中國의 皇帝權力 : 光緖帝와 西太后」, 『역사학보』 208, 2010.
- 「吳祿貞과 『延吉邊務報告』: 100년 전의 ‘東北工程’?」, 『역사문화연구』, 2010.
- 「1911년의 汪精衛 -楊度와의 國事共濟會 활동을 중심으로」, 『東亞文化』 48, 2010.
- 「청대 후기 강북사회의 이해 -장건과 강회행성의 설치문제를 중심으로」, 『東亞文化』 47, 2009.
-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청사편수 -‘신청사’ 편찬 토론에 나타난 중국학계의 반응 분석」, 『중국의 청사공정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 「淸代國家權力의 性格 – 財政史的 觀點에서의 理解」, 『東亞文化』 45, 2007.
- 「(한국의 학술연구: 동양사) 제4장 명청, 근현대사연구」, 『한국의 학술연구 (역사학)』, 대한민국 학술원, 2006.
- 「중국근대 – 회고와 전망, 동양사(2002-2003)년」, 『歷史學報』 183, 2004.
- 「近代中國에서의 傳統과 近代: 淸末民初 西學受容 試論」, 『인문논총』 50, 2003.
- 「고 민두기 선생의 학문적 업적」, 『동양사학연구』 74, 2001.
- 「淸末 혁명파의 ‘反滿革命’論과 ‘五族共和’論」, 『중국현대사연구』 12, 2001.
- 「청말 공화제의 수용과 혁명파」(주제 발표), 『중국근대사학회`중국현대사연구회공동주최 신해혁명90주년기념학술회의』 2001.
- 「書評: Edward J. M. Rhoads, Manchus and Han :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Seatle and London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중국현대사연구』 11, 2001.
- 「江蘇敎育總會小論」, 『東아시아歷史의 還流』 (西江大東洋史硏究室 編, 지식산업사), 2000.
- 「淸末 地方自治의 實行과 紳士層의 動向-江蘇省의 경우」, 『中國近現代史의 再照明』(서울大東洋史學硏究室 編, 지식산업사), 1999.
- 「中國學硏究와 인터넷의 활용」, 『東亞文化』 36, 1998.
- 「淸末 地方自治의 成立과 地方紳士層―江蘇省에서의 自治準備過程―」, 『동양사학연구』 63, 1998.
- 「淸末 新政期의 敎育改革과 財政問題―江蘇省의 事例를 中心으로―」, 『外大史學』 8, 1998.
- 「淸末의 釐金問題와 商人層의 動向―江蘇省에서의 ‘裁釐認捐’과 統捐의 問題를 중심으로―」, 『歷史學報』 158, 1998.
- 「淸末 新政期 江蘇省의 財政問題와 紳士層―’徵銀解銀’의 문제를 중심으로―」, 『東亞文化』 35, 1997.
- 「淸末 江蘇省의 敎育改革과 紳士層―敎育會의 設立과 活動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60, 1997.
- 「번역 : 고대 중국의 역사가가 근대서구의 이론에 기여할 수 있는가?―사마천의 복합화법―」 (Hardy, Grant), 『문학과 사회』 27, 1994.
- 「辛亥革命의 展開」, 『講座中國史 Ⅵ』(서울大東洋史學硏究室 編, 지식산업사), 1989.
- 「辛亥革命에서의 反帝問題의 認識과 實踐―’革命瓜分論’과 革命派의 對應―」, 『동양사학연구』 30, 1989.
- 「湖南에서의 五·四運動의 展開」, 『서울大東洋史學科論集』 13, 1989.
- 「上海에서의 辛亥革命의 展開過程―革命政權과 各政治勢力의 對應―」, 『동양사학연구』 20, 1984.
논문 (외국문)
- 「1911年的汪精衛,楊度與國事共濟會」, 『政治精英與近代中國』,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3.
- 「1990年以來の韓國における淸代政治史硏究の動向」, 『中國史學』(中國史學會) 14, 2004.
- 「ソウルでの辛亥革命90周年學術討論會について」, 『近キニ在リテ』 41, 2006.
- 「辛亥革命八十周年記念東京國際學術討論會參加記」, 『近キニ在リテ』 21, 1992.
학력
- 1987
- 1984
- 1982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19 ~ 2020
- 2019 ~ 2021
- 2007 ~ 2011
- 1998
- 동양사학회 회장
-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소장
-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소장
- 본교 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