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 고문서와 일기류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사회 문제와 사람들의 구체적인 삶의 양상을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청원 · 소송 문서에 나타나는 사람들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共著), 현북스, 2022.
- 《밀암(密庵) 이재(李栽) 문파(文波) 연구 : 18세기 영남학자의 지적 지형도》 (共著),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도시로 읽는 조선: 공간을 통해 본 우리 역사》 (共著), 글항아리, 2019.
- 《契約と紛爭の比較史料學 -中近世におげる社會秩序と文書》 (共著), 吉川弘文館, 2014.
- 《조선의 묘지 소송–산송, 옛사람들의 시시비비》, 문학동네, 2012.
-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 (共著), 두산동아, 2009.
- 《의식주, 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共著), 역사비평사, 2006.
- 《16세기 한국 고문서 연구》 (共著), 아카넷, 2004.
- 《조선시대 생활사 2》 (共著), 역사비평사, 2000.
역서
- 《조선시대 결송입안집성》 (共著), 민속원, 2022.
-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 총서: 岡營日記》 (共著),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 《諸家遺讀, 선현들이 남긴 간찰 모음》 (共著), 도서출판 다운샘, 2017.
- 《조선시대 고문서: 최승희 서울대 명예교수 소장(탈초본)》 (共著), 도서출판 다운셈, 2007
- 《경주이씨가 승정원사초(正書本)》1, 2 (共著), 서울역사박물관, 2004/2006.
- 《옛 문인들의 초서 간찰》 (共著), 한국고간찰연구회/도서출판 다운샘, 2003.
논문
- 〈조선시대 송관의 공문서와 송자의 역할〉 《인문논총》 79(3), 2022.
- 〈17-18세기초 사대부가 여성의 친소(親訴)・친송(親訟) 활동 -영광 영월신씨가 고문서를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35, 2021.
- 〈17세기말~18세기초 향촌의 전답 분쟁과 推訟․換面相訟 -구례․ 곡성현의 결송입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99, 2021.
- 〈16, 17세기 유기아수양법과 민간의 轉用-1661년 서원현 소송을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57, 2020.
- 〈17세기 소송 현장과 노비의 소송 전략 –1635년 의령현 결급입안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87, 2019.
- 〈제주민의 재산상속 소송과 書證 -1663년 제주목 決訟立案을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54, 2019.
- 〈조선시대 決訟立案과 여성의 소송 주체성〉 《한국사론》 64, 서울대 국사학과, 2018.
- 〈決訟立案과 소송 현장, 그리고 노비의 삶〉 《한국문화》 83, 2018.
- 〈조선후기 觀察使 題音의 到付와 到付狀〉 《고문서연구》 51, 2017.
- 〈19세기 향촌사대부가의 山訟 실태와 滯訟 -潭陽 善山柳氏家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66, 2017.
- 〈18세기말 順菴 安鼎福家의 喪葬禮와 居喪生活〉 《고문서연구》 50, 2017.
- 〈을병대기근기 향촌사회의 경험적 실상과 대응〉 《역사와 실학》 61, 2016.
- 〈17세기말 사대부가의 喪葬禮와 居喪生活 – 尹爾厚의 『支菴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72, 2016.
- 〈17세기말 향촌 사대부의 생활과 여행 -海南尹氏 尹爾厚의 『支菴日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71, 2015.
- 〈조선후기 사대부가의 山訟 실태와 대응책 -長城 幸州奇氏家 古文書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58, 2015.
- 〈안정복의 民願政策과 官民疏通〉 《고문서연구》 43, 2013.
- 〈임진왜란 초기 지방관의 守土活動 – 善山府使 丁景達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65, 2013.
- 〈조선후기 察訪의 驛站 운영과 관직생활 – 19세기 초 金載一의 『黙軒日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62, 2013.
- 〈조선후기사대부가의聯名呈訴활동과公論형성 – 安東 周村 眞城李氏家 사례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109, 2013.
- 〈李适의 난과 『호남모의록』〉 《숭실사학》 28, 2012.
- 〈조선후기 사대부가의 遠地墳山과 遷葬 – 海南 海南尹氏家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학연구》 103, 2011.
- 〈19세기 나주지역의 토지거래와 地價變動〉 《역사학연구》 42, 2011.
- 〈16세기 전라도 관찰사의 순행길〉 《지방사와 지방문화》 13-2, 2010.
- 〈조선후기 光州 全義李氏家의 재산상속〉 《사학연구》 99, 2010.
- 〈조선후기 전의이씨가의 山訟과 墳山守護〉 《역사학연구》 39, 2010.
- 〈等狀을 통해 본 조선후기 聯名呈訴와 公論 형성〉 《규장각》 36, 2010.
- 〈소송을 통해 본 조선후기 노비의 記上抵抗 -1718년 求禮縣 決訟立案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36, 2009.
- 〈조선후기 山訟과 上言·擊錚-盧尙樞家와 朴春魯家의 소송을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33, 2008.
- 〈16, 17세기 奴良妻幷産法과 노비소송〉 《역사와 현실》 67, 2008.
- 〈家訓을 통해 본 17세기 士大夫家의 墳山守護〉 《사학연구》 87, 2007.
- 〈17세기후반 儒生 李必益의 유배생활〉 《한국문화》 38, 2006.
- 〈고문서를 활용한 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남학》 10, 2006.
- 〈15세기 정소(呈訴) 절차와 관찰사의 역할〉 《역사와 현실》 59, 2006.
- 〈조선후기 여성의 呈訴活動〉 《한국문화》 36, 2005.
- 〈18세기 능참봉 김두벽의 관직생활과 왕릉수호〉 《규장각》 28, 2005.
- 〈16세기 請願書의 처리절차와 議送의 의미〉 《고문서연구》 24, 2004.
- 〈16세기 사대부가의 喪祭禮와 廬墓生活 -이문건의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97, 2001.
- 〈朝鮮後期 門中通文의 類型과 性格〉 《고문서연구》 19, 2001.
- 〈朝鮮後期 親族秩序와 宗山紛爭〉 《조선시대사학보》 14, 2000.
-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제사설행과 그 성격-李文楗의 默齋日記를 중심으로〉 《한국학보》 98, 2000.
- 〈朝鮮時代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사학연구》 55, 1998.
- 〈18세기 후반 奴婢爭訟의 事例分析-豊山柳氏 古文書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8, 1996.
학력
- 2002
- 1996
- 1988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박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21.07. ~ 현재
- 2021.04. ~ 현재
- 2020.03. ~ 현재
- 2019.02. ~ 2021.02.
- 2018.09. ~ 2020.02.
- 2018.08. ~ 2020.08.
- 2018.03 ~ 현재
- 2007.04. ~ 2018.02.
- 2003.09. ~ 2007.05.
- 한국고전번역원 이사
- 한국고문서학회 부회장
- 국립중앙도서관 고서위원회 위원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역사연구부장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보자료관리부 부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장학위원회 위원
- 서울대학교 부교수
- 조선대학교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