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TOP

권윤경 부교수

權倫鶊 | Kwon Yun Kyoung

전공프랑스사
연구실14동 513호
연락처02-880-6206
이메일yunkwon@snu.ac.kr
연구 분야
  • 서양근대사, 프랑스사
    식민주의, 노예제, 시민권
    인종문제, 탈식민주의
주요 저작
  • 「여성 노예가 법정에서 싸우는 법: 프랑스 7월왕정기 “비르지니 재판”과 노예 가족, 1832-1847」, 『인문논총』 82권 1호 (2025).

  • 「1848년 2월22-24일, 6월 22-26일, 2월혁명과 두 번의 바리케이드 전투」, 『프랑스사 연구』 51집 (2024).

  • 「1763년 2월: 7년전쟁의 패배와 파리조약」, 이용재 외, 『프랑스를 만든 나날, 역사와 기억 1』 (푸른역사, 2023).

  • 「알베르 사로(Albert Sarraut)의 발전 식민주의: 전간기 프랑스의 식민지 개발론과 새로운 통치성」, 『역사학보』 258집 (2023)
  • 줄리어스 스콧, 『모두의 바람: 아이티혁명의 시대 아프로아메리카 혁명의 조류』, 권윤경 역 (서울대출판부, 2022).
  • 「아이티혁명기 유색인 여성들: 대서양 세계를 가로지른 자유의 여정」, 최재인, 노서경 외, 『19세기 허스토리: 생존자의 노래, 개척자의 지도』 (마농지, 2022).
  • 「설탕과 종속: 프랑스령 앙티유를 통해서 본 노예해방 후 설탕 경제의 장기적 변천 과정, 1848-현재」, 『서양사론』 154 (2022.9).
  • “The Global Turn in the Studies of the French Revolution: Towards “Decolonizing” Revolutionary History,” in Q. Edward Wang ed., Western Historiography in Asia: Circulation, Critique and Comparison (De Gruyter, 2022).
  • 「해방의 신화가 저물 때: 프랑스령 서인도제도의 노예제 기념물과 새로운 기억의 지형도」, 『서양사론』 149 (2021. 6).
  • “二月革命後のアンティル諸島における普通選挙―アフリカ系黒人有権者と反革命,” 松浦義弘, <東アジアから見たフランス革命> (風間書房, 2021), 195-217.
  • 「나폴레옹 사후 200년: 나폴레옹의 기나긴 그림자」, 『지식의 지평』 30 (2020).
  • 「제국의 동양학과 문화적 식민주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극동연구원(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과 식민지 통치성, 1900-1939」, 『서양사론』 146 (2020. 9).
  • “Forgotten Island of the Liberator: Haiti’s Influences on Victor Schoelcher’s Abolitionism (1833-1848), Histoire Sociale/Social History, vol. 53, no. 107 (2020), pp. 69-90. (Link)
  • 「프랑스를 만든 나날들: 1763년 2월 10일, 파리 조약 체결과 7년 전쟁의 끝」, 『프랑스사연구』 42 (2020).
  • 「아래로부터 대서양사 쓰기: 노예제와 아이티혁명의 시각에서 본 대서양사의 과제」, 『미국사연구』 50 (2019. 11).
  • 「18세기 프랑스사 연구와 디지털 인문학의 사례들」, in 이재현, 문수현, 박은재, 권윤경, 이주영, 송인재,『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9. 9), 151-219.
  • 「보편적 인권과 제국: 노예해방과 동화주의의 모순」, in 박성우 외, 『정치사상사 속의 제국』 (서울대출판부, 2019. 9), 207-252.
  • 「라운드 테이블: 프랑스혁명사: 중견과 신진 연구자 사이의 대화」, 권윤경, 김민철, 양희영 외 7명, 『프랑스사 연구』 41 (2019. 8), 153-184.
  • 「해방노예의 보통선거권-프랑스 제2공화국 시기 서인도제도 식민지의 선거, 1848-1851」, 『서양사론』 141 (2019. 6), 10-45.
  • 「노예제의 보이지 않는 기억: 프랑스 항구도시들과 기억의 장소」, 『역사학보』 241 (2019. 3), 335-367.
  • 「바다에서 길어 올린 세계사: 주경철의 《대항해 시대》와 《문명과 바다》를 다시 생각하며」, 『문명과 경계』 1 (2018. 12).
  • 「새로운 문필공화국을 향하여: 18세기 프랑스사 연구와 디지털인문학의 사례들」, 『역사학보』 240 (2018. 12), 35-74.
  • 「도서관을 통한 지성사 쓰기: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프랑스어 극동학 장서 분석」, 『아시아리뷰』 8(1) (2018. 8), 3-40.
  • 「프랑스 오리엔탈리즘과 ‘극동(Extreme-Orient)’의 탄생: 경성제국대학 프랑스어 도서들 속에 얽힌 제국 시대 지성사의 네트워크」, 『아시아리뷰』 7(2) (2018. 2), 3-36.
  •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프랑스사학회 편, 『전쟁과 프랑스 사회의 변동』 (홍문각, 2017. 10)
  • 「노예해방과 시민권: 1848년 혁명과 빅토르 쇨세르의 공화주의적 동화주의」, 『프랑스사연구』 37 (2017. 8.), 71-105
학력
  • 2012
  • 2002
  • 1999
  • 시카고대학교 역사학과 박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문학석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문학사
경력
  • 2017 ~ 2019
  • 2015 ~ 2017
  • 2014 ~ 2015
  • 공주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
  •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